도, 농지쪼개기 수법으로 투기수익 581억 얻은 54명 고발키로 - 경기도 반부패조사단, 농지 투기, 대리 경작, 고의적 휴경…
○ 경기도 반부패조사단, 농지법 위반 321필지를 적발해 고발, 시․군 통보
- 농지 투기한 54명 적발, 156필지 되팔아 부동산 투기 이익 581억9천만 원
- 투기 정도가 심한 18명은 직접 고발, 36명은 시․군에서 고발토록 통보
- 불법 임대한 183필지, 휴경 및 불법 전용 21필지는 시․군에 행정조치 통보
서정혜 2021-05-07 05:5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 내 부동산 투기를 조사 중인 경기도 반부패조사단은 농지 쪼개기를 통해 1인당 수억에서 수십억 원의 투기 이익을 챙긴 54명 등 농지법 위반자를 무더기 적발했다고 7일 밝혔다.

e649abc50109cfda734ec3773cd5c310_1620334735_8309.jpg
경기도청+전경(7)

도 반부패 조사단이 올해 3월초부터 도와 경기주택도시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6개 개발지구(광명 학온, 성남 금토, 용인플랫폼시티, 안양 인덕원, 안양 관양고, 평택 현덕지구)3기 신도시가 예정된 7개 개발지구(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고양 창릉, 안산 장상, 광명 시흥, 과천 과천, 부천 대장) 일원에서 20131월부터 올해 3월까지 거래된 7732필지의 농지를 중점 감사한 결과다.

도 반부패조사단은 이들 농지를 대상으로 농지취득자격증명 발급대장 확인을 거쳐 심층조사 대상지를 골라냈다. 이후 소유권 확인, 현장점검, 농지법 검토, 부동산 투기 검토 등을 거쳤으며, 321개 필지 387,897(축구 경기장 38배 상당)에서 농지법 위반 사항을 확인했다. 유형별로는 농지 투기 의심 불법 임대 휴경 불법행위 등이 적발됐다.

농지 투기가 의심되는 자는 54명으로, 이들은 농지 156필지 121,810(축구경기장 12)3451천여만 원에 산 뒤 0.08㎡∼1,653씩 분할, 2214명에게 927억 원에 되팔아 5819천여만 원의 부동산 투기 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도 반부패조사단은 54명 중 10억 원 이상의 투기 이익을 챙긴 18명을 경찰에 고발하는 한편 나머지 36명은 관할 지자체를 통해 고발 조치하기로 했다.

사례를 보면 경기도 〇〇시에 거주하는 A씨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〇〇개발지구 인근 농지 31개 필지 9,973336천만 원에 매수해 소유권이 이전된 날로부터 10~410167명에게 899천만 원에 쪼개 팔아 563천만 원의 투기 이익을 얻었다. 〇〇()에 거주하는 B씨는 2020년부터 현재까지 〇〇개발지구 인근의 농지 16개 필지 7,78434억 원에 매수해 소유권이 이전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261명에게 1.65~231863천만 원에 쪼개 팔아 523천만 원의 투기 수익을 얻었다.

반부패조사단은 이들 54명이 농업경영·주말체험영농 목적으로 농지를 취득한 후 취득 당일부터 평균 1년 이내 되팔아 큰 시세차익을 거두는 방법으로 농지법 제6조와 제8조를 위반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쪼개 판 농지 중 16필지는 장기간 휴경인 것으로 확인돼 농지가 농사보다는 부동산 시세차익을 위한 투기 수단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농지를 불법 임대한 사례도 적지 않았다. 이번 조사결과 733명이 소유한 183필지 283,368에서 불법 임대가 확인됐다. 농사를 짓겠다며 농지를 취득한 후 정당한 사유 없이 바로 다른 사람에게 임대한 경우도 취득 당시부터 영농 의사가 없었기 때문에 농지의 소유 제한 및 부당한 방법으로 농지를 취득한 농지법 위반 사항이다.

733명의 거주지를 분석한 결과, 소유한 농지와 직선거리 30km 이상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 91%(663)로 집계돼, 이들이 농지 취득 당시부터 영농 의사가 있었는지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도 반부패조사단은 설명했다.

농지를 매입하고 수년째 농사를 짓지 않거나(휴경) 다른 목적으로 사용한 사례도 19필지 1238, 279명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〇〇〇〇읍 소재 밭() 390은 서울에 거주하는 C씨가 20206D9인에게 매도한 농지인데 오랫동안 농사를 짓지 않아 잡풀이 우거져 있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