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지난해 건설 자재 품질시험 834건 수행…부실시공 예방 등에 기여 ○ 품질시험 수수료 지난해 3억 6천만 원 수입 및 현장 중심의 선제적 품질관리로 국․공립시험기관 공신력 제고 ○ 도로공사 15개 현장 중심의 품질관리 점검으로 견실 시공 지원 - 선제적 컨설팅으로 부실시공 예방 및 품질 확보 기여 서정혜 2023-01-12 07:36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는 지난해 레미콘 등 건설 현장 반입 자재에 대한 품질시험 834건을 수행해 부실시공 예방과 자재 품질 확보에 기여했다고 12일 밝혔다. 경기도청+전경(1)(8) 경기도건설본부 내 품질시험실은 1976년 지방정부 최초의 국‧공립시험기관으로 설립돼 각종 건설 현장으로부터 품질시험 대행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철근화학성분측정(P,S,Si) 등 138종목의 품질시험이 가능하다. 지난해에는 총 834건의 품질시험을 했고, 이에 따른 수수료 수익 3억 6천만 원을 거뒀다. 이는 2021년부터 첨단 디지털 장비로 현대화해 금속화학성분측정기 등을 새로 구입했고, 노후 장비 교체 및 특히 시험 수요에 부응하고자 가드레일 수평지지력시험 등 품질시험 종목을 확대한 결과다.이와 함께 도 품질시험실은 지난해 도로공사에 사용하는 레미콘과 아스콘 등 현장 반입 자재의 품질 적합도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는 ‘품질관리 현장확인 컨설팅반’을 운영했다. 지방도 325호선 ‘불현~신장’ 등 건설본부 발주 도로현장 15곳에 대해 31회(현장별 1~3회)를 컨설팅 점검을 했으며, 다짐도 등 3건의 부적합을 확인했다. 부적합한 사항은 현장별 후속공정 전 보완 시공해 부실시공을 예방하고, 품질을 확보했다. 이 밖에도 첨단 디지털 장비를 활용해 도내 지방도 등 약 4천300㎞를 대상으로 도로 차선 반사 성능을 측정한 결과, 부적합 차선 약 1천338㎞(점검 대상의 31%)를 발견해 차선도색(보수)공사를 연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사람이 직접 장비를 들고 다니는 옛 장비가 아닌 차량이 차선을 지나가기만 하면 자동 측정하는 첨단 디지털 장비인 ‘차량부착형 차선반사성능측정장비’를 2020년 2월 전국 지방정부 최초로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한건우 경기도건설본부 도로건설과장은 “올해도 현장 중심의 선제적 품질시험 및 컨설팅 점검 등을 통해 부실시공을 예방하고, 안전한 건설 현장을 만들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소방 특별사법경찰, 폭발성 위험물 취급업소 안전컨설팅·기획단속 실시 23.01.12 다음글 도, 3기 신도시 내 불법 투기 행위자 86명 적발. 총 320억 원 규모 2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