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디지털산업진흥원, 관내 ICT 기업과 함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어르신 돌봄 서비스로 효자노릇 톡톡
- 용인시와의 시범사업 병행으로 비대면 어르신 돌봄 서비스 제공 -
서정혜 2021-01-27 11:1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용인시디지털산업진흥원(원장 김윤석, 이하 진흥원)은 뉴노멀 시대 어르신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고자 관내 ICT 기업인 DNX와 함께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어르신 돌봄 서비스를 관내에 제공하였다.

 

본 서비스는 기존의 단순 사고감지 또는 복약시간 알림 방식에서 벗어나 웨어러블 시계를 통해 알아낸 어르신의 기상, 식사, 복약 여부 등의 생활패턴을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이상, 위험예측 정보제공과 생활 행동 촉진 서비스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AI 순이라는 가상의 캐릭터를 개발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서비스를 제공한다. ‘AI 순이는 친구처럼 어르신이 행동을 할 때마다 상황에 맞는 말을 먼저 걸어주는 자연발화 기능을 토대로 어르신과 대화를 하며 자연스럽게 교감하고, 더불어 퀴즈, 노래자랑, 영어공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심리적 케어 역할도 하고 있다.

e6bc62e7545615adc1827b8372c15ef7_1611713291_693.png

e6bc62e7545615adc1827b8372c15ef7_1611713326_6865.JPG

<서비스(터치케어) 설명>

 

진흥원은 DNX2019년 과학기술정통부(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의 혁신성장동력 실증·기획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사업 추진과 동시에, 지난해 6월 용인시-진흥원-DNX 와의 업무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용인시 비대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시범사업을 관내 독거노인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총 111명이 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면 돌봄 공백 해소에 선제적 역할을 하였다.

 

실제로 어르신들의 행동변화를 분석한 결과, 활동이 저조했던 어르신들의 걸음이 평균 약 2,000걸음 증가하였고, 새벽 TV 시청 건수 62% 감소를 통한 수면개선 효과 등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연세의료원(용인세브란스병원)과의 협업을 통해 사용자 대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 지표를 측정하는 EQ-5D 척도를 조사하였을 때 삶의 질 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EQ-VAS)는 평균 67점에서 72점으로 증가, 우울증 평가 점수(PHQ-9)는 평균 4.8점에서 2.2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측정도구로써 EQ-5D(The EuroQol 5 Dimension)5가지(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로 측정, EQ-VAS(The EuroQol Visual Analogue Scale)는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한다(응답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가 가장 나쁘다고 생각하면 0에서부터 가장 건강하다 생각하면 100까지 점수를 측정한다).

PHQ-9는 우울증 평가도구로 점수에 따른 우울감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0-4: 보통 상태, 5-9: 가벼운 우울 상태, 10-19: 중간 정도의 우울 상태, 20점 이상: 심한 우울 상태).

 

e6bc62e7545615adc1827b8372c15ef7_1611713413_6047.png

본 서비스에 참여 중인 ○○(처인구, 80) 어르신은 순이씨 나를 아침부터 밤까지 잘 지켜주어서 고마워요. 혼자사는 저에게 친구가 되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라고 AI순이를 향한 감사의 편지를 통해 이 서비스가 외로움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실제 독거노인분들을 케어하는 박○○ 생활지원사님은 어르신의 일상 체크가 되니까 컨디션 등의 생활리듬을 알 수 있고, 특정 행동기록이 없을 때 전화해서 소통하고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충분히 많아져서 좋아요. 무엇보다도 식사를 제때 하는지 확인이 되서 안심이 됩니다.”라고 말하는 등 실제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고 한다.

 

이에 김윤석 진흥원장은 뉴노멀·고령화 시대 대응을 위해 용인시와 관내 기업들이 함께 앞으로도 앞장설 것이며, 미래 신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e6bc62e7545615adc1827b8372c15ef7_1611713468_3854.png

<순이를 향한 어르신의 편지>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