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연금 수급자 2명 중 1명 ‘月300만원 이상’ 수급... 4만 1,443…
 - 지난해 ‘月400만원 이상’ 수령자 5,132명 ‘2,431억원’ 수령
- 평균연금월액, 국민연금 47만원 vs. 사학연금 270만원 
- 2018년 월평균소득 297만원, 중위소득 220만원
서정혜 2020-10-12 14:18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사학연금공무원연금국민연금 수급자 간 연금 수령액 격차가 매우 크다. 무엇보다 사학연금 수급자의 절반 정도가 임금근로자 월평균소득 이상으로 연금으로 받고 있다.
 
이탄희11.jpg
 
 

이탄희 의원이 사학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00만원 이상 사학연금 수급자41,443(47.2%)15,614억원(59.8%)을 수령했으며, 300만원 이상 수급자 비중은 201543.5%에서 올해 상반기 47.2%로 지속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1].
 

지난해 사학연금 수급자 연평균 연금수령액은 3,138만원이었으나 300만원 이상 수급자는 연평균 4,044만원을 수령했다[1].
 

지난해 400만원 이상 사학연금 수급자5,132(6.2%)2,431억원(9.3%)을 수령해 연평균 4,736만원 지급받았다[1].
 

한편, 각 직역연금별 1인당 평균 수급액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지난해 300만원 이상 공무원연금 수급자128,028(24.1%)4,364억원(26.6%)을 수령했다[2]. ‘국민연금의 경우 300만원 이상 수급자는 아직까지 없고 200만원 국민연금 수급자201810명을 시작으로 지난해 98(0.002%)이었다[4].
 

작년 국민연금 평균연금월액은 47만원으로 사학연금 270만원의 17.4% 수준인 상황이다[1][4]. 참고로 임금근로자의 2018년 월평균소득은 297만원, 중위소득은 220만원이다[5].
이탄희 의원은 국민연금과 직역연금 간 연금수령액 격차는 제도 자체의 문제도 있지만 그동안 가입기간과 납부한 보험료의 차이이 기인한 점도 있다. 국민연금 수급액 증가 폭도 높아지는 상황에서 각 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각 연금간 공동의 고민과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특히 임금근로자 월평균소득은 297만원이고 중위소득이 220만원인 점을 고려할 때 고액의 연금액이 합리적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