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장병원 등 환수 규정 미비로 건보재정 누수 현실화
- 올 1분기 환수 결정 금액 2,982억 중 396억 환수 불능
- 정춘숙 의원 “사무장병원 급여비 전액 환수 건강보험법 개정 추진”
서정혜 2021-04-27 18:4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사무장병원 등 불법개설기관에 지급된 보험급여 비용 환수 규정 미비로, 올해 1분기에만 환수금액이 396억 원이나 줄어드는 등 건강보험 재정 누수가 우려된다.

  9c3cb2fe51c4bea5ce6c76867fb4dd62_1619516787_2117.png

정춘숙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국회의원(경기 용인시병·재선)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불법개설요양기관 환수결정액 감액·조정 현황에 따르면, 당초 2,982억 원이었던 환수 결정 금액이 재량준칙적용 후 2,586억 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2115일부터 적용하기 시작한 재량준칙은 지난해 6월 대법원 판결(대법원 2020.6.4.선고, 201539996판결)에 따른 것이다. 당시 대법원은 구()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급여비용 환수규정(52(현행법 제57) 1공단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자에 대해 급여 또는 급여비용에 상당하는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징수한다”)전부 또는 일부라는 문구를 근거로, ‘일부 징수가 가능함에도 전액을 징수하는 것은 재량권의 일탈·남용에 해당한다며 전액 징수 불가 판결을 내렸다.

 

일례로 부산경남지역의 한 사무장 병원은 20111월부터 202010월까지 보험급여 비용 534억원을 편취했다. 사무장 유모 씨는 202010월 의료법 위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등에관한위반(사기)으로 기소되어 현재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당초 건강보험공단은 534억원 전액 환수를 결정했으나, 대법원 판결 이후 재량준칙을 적용하여 당초보다 80억원 감액·조정된 454억원으로 환수금을 결정했다.

 

사무장병원, 면허대여약국 등은 불법개설기관이기 때문에 보험급여 비용을 전액 환수하는 것이 타당하지만, 법률에 전부 또는 일부환수토록 규정한 탓에 대법원 판결이 적용된 올해 1분기부터 총 396억 원의 건강보험 재정 누수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정춘숙 의원은 사무장병원·면허대여약국 등 불법개설기관 환수 규정의 미비로 건강보험 재정에 큰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막고 불법개설기관을 근절하기 위해 전액 환수가 가능하도록 국민건강보험법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정춘숙 의원은 불법개설기관에 지급된 요양급여비용을 전액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국민건강보험법개정안을 이달 안으로 대표발의할 계획이다. <>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