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선 도의원, ‘접경지역 평화경제특구 조성 위한 토론회’ 토론자로 참여 - 고양, 파주, 김포 등 지자체 간 협력 통해 미래 통일 한반도 초석 다져야 - - 평화경제특구의 거점인 3개시가 함께하는 협의체 구성 필요 - 김완규 2021-04-09 18:23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 접경지역에 평화경제특구를 조성하여 통일 대한민국의 초석을 닦기 위한 ‘평화경제특구법과 경기서북부의 역할’ 토론회가 코로나19에 입각한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일산그리스도교회에서 개최되었다. 민경선 의원 보도자료 사진1❍ 경기서북부를 지역구로 둔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민경선(더불어민주당, 고양4) 도의원은 접경지역인 고양시를 대표하여 토론회에 토론자로 참석해 평화경제특구법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 민 의원은 토론회에서 박정 국회의원이 대표발의한 「평화경제특별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을 설명하며, 경기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접경지역에 평화경제특구를 조성할 시 전국적으로 약 9조원의 생산유발효과와 7만 명의 취업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 또한 남북관계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평화경제특구를 조성할 때가 아니라는 일부 주장에 대해서는 북한에서 운영되는 개성공단과 달리 우리 땅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남북관계와 별개로 독자적으로 추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 민 의원은 “평화경제특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거점도시인 고양, 파주, 김포시 등 지자체 차원의 지원과 민주통일평화포럼 등 시민단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중요하다”며 “특히 고양, 파주, 김포는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 3대 벨트 중 환서해벨트와 접경지역 평화벨트의 핵심지역으로 그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또한 “관련법 개정을 통해 지방자치단체가 남북협력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면서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인 주도권이 확보되었다”며 “3개시 통합 협의체 구성을 통한 지자체 간 정책 공유와 공통의 사업을 발굴해 하나로 뭉쳐 중앙에 적극적으로 건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한편, 이날 토론회는 김포민주통일평화포럼과 (사)한국청소년행복나눔에서 주최하고 민주통일평화포럼에서 주관하였으며, 서보혁 교수(통일연구원 연구실장)의 ‘한반도 평화경제: 비전과 과제’라는 주제발표가 있었고, 임성택 목사를 좌장으로 민경선, 김경일 경기도의원, 조승현 전 경기도의원이 토론자로 참석하여 평화경제특구의 거점도시이자 배후도시인 고양·파주·김포시의 역할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김완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4-H연합회에 중고생 414명 신규 가입 21.04.09 다음글 용인시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2021년도 제1회 검정고시 시험장 아웃리치 실시 “꿈드림은 합격이다” 2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