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영유아 발달지원 서비스, 사업 첫해 3천700명 신청…329명 치료 연계
○ 도,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 지원 서비스.
- 2021년 3월 시작해 12월까지 3,711명 지원 요청.
- 비대면 상담 3,102건, 대면 상담 1,162건 수행. 언어‧발달 장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치료 연계 지원한 영유아는 329명.
서정혜 2022-01-20 06:24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 20213월 경기도의 한 어린이집에 입소한 지연이(가명2)는 눈 맞춤도 잘 안 되고 또래와 상호작용이 거의 없었다. 생후 7개월 당시 입은 팔 부위 화상 여파로 낮잠이나 음식 섭취도 원활히 안 됐다. 어린이집 관계자는 지연이 부모에게 경기도의 영유아 발달지원 서비스를 권유했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지연이의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조기 발견됐고, 주변 아동발달센터 치료로 연계됐다. 부모에게는 별도 교육과 상담도 이뤄졌다.

 

a796bb7744e1ded153d031042f601752_1642627456_513.jpg
경기도청+전경(26)

 

경기도가 언어 및 발달 장애 위험이 있는 영유아를 조기 발견해 지원하는 경기도 영유아 발달지원 서비스를 지난해 처음으로 시작한 가운데 사업 첫해 3,711명이 지원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장애로 아직 판별되지 않았으나 지속적으로 교육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방치되면 향후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장애를 갖게 될 확률이 높은 영유아인 장애위험 영유아를 지원하기 위해 관련 사업을 추진했다.

지난해 3월 시작된 경기도 영유아 발달지원 서비스는 미취학 영유아 보호자나 어린이집이 신청 시 시·군 육아종합지원센터에 배치된 30여 명의 발달원상담원이 무료 선별검사를 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교사부모 상담, 치료지원을 연계하는 내용이다.

이에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총 3,711명의 영유아에 대한 발달지원 요청이 접수됐다. 어린이집 의뢰가 2,856, 가정(보호자) 의뢰가 855명이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만 21,170, 31,068, 1542, 4491, 5401명 등의 순이다.

도는 접수된 영유아에 대해 대면 및 비대면 상담 4,264, 이 중 어린이집이나 가정 직접 방문 상담 727건을 수행했다. 사업 신청 영유아 중 선별 후 언어발달 장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치료 연계 지원한 영유아는 329명이다.

경기도육아종합지원센터는 앞으로도 어린이집 교사, 부모 및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상담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시군센터 지원사업을 통해 올해에도 도내 영유아 대상 공적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상담업무추진 체계도

 

어린이집 영유아

보육교직원의 이상소견 발견 안내

육아종합지원센터에 신청

(부모 또는 어린이집 교직원*)

 

발달지원상담원

관찰 및 상담**

 

선별검사

치료필요성 x

양육법 지도 등 상담으로

자체 종결

 

 

가정양육 영유아

가정 내

발견

 

치료필요성 O

치료기관 연계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