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역사문화관, 특화 콘텐츠 개발 등 통해 세계문화유산 가치 확산해야” ○ 경기연구원, <남한산성 역사문화관 운영 및 콘텐츠 개발 방향 연구> 발간 ○ 남한산성 유물의 전시・보존관리를 위한 남한산성 역사문화관 2023년 개관 예정 ○ 남한산성 역사문화관, 박물관 기능뿐만 아니라 남한산성 내 유적・유산, 민속문화 등과의 연계를 통한 세계유산적 가치 확산을 위한 거점으로 육성 필 서정혜 2022-05-26 07:26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가 2023년 개관을 목표로 남한산성 역사문화관을 건립하는 가운데 남한산성의 세계유산적 가치 보존과 확산을 위해 역사문화관의 체계적 운영계획, 남한산성 특화 콘텐츠 개발, 관광 활성화, 교통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남한산성+역사문화관+조감도(1) 경기연구원은 ‘남한산성 역사문화관 운영 및 콘텐츠 개발 방향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남한산성+역사문화관+방문의향 남한산성 역사문화관은 2014년 남한산성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시 약속했던 사항으로 경기도가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일원에 건축연면적 2천963㎡(지하 1층·지상 2층) 규모로 240억 원(국비 120억 원, 도비 120억 원)을 들여 2021년 12월 착공했다. 역사문화관에는 홍보관, 유물전시관, 자료실 등이 들어선다. 남한산성+역사문화관+무료셔틀버스+운행+시+이용의향 연구원이 올해 3월 15~30일 남한산성 방문객 193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남한산성 역사문화관 건립 시 73.9%(143명)가 방문하겠다고 응답했다. 역사문화관의 주요 기능으로는 41.0%(79명)가 역사문화관의 수집・보존관리를, 26.6%(51명)가 전시·교육을 각각 지목했다. 또한 역사문화관 건립이 남한산성 역사적 가치 증진과 세계유산으로서 위상이 높아질 것이라는 생각에 대체로 동의하는(5점 만점에 4.19점, 4.10점)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산성+역사문화관+기능에+대한+우선순위 남한산성 방문 시 교통수단으로 79.3%(153명)가 자가용이라고 응답해 주차장 개선, 대중교통 확충 등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의견을 바탕으로 연구원은 남한산성 역사문화관의 전문성 확보와운영 활성화 방안으로 ▲남한산성 역사문화관 전담조직 구성 ▲학예연구사 채용 확대 ▲남한산성 행궁 담당 인력과 통합 운영 ▲주변 지자체 문화관광해설사의 전문안내원(도슨트) 활용 ▲남한산성 디지털 유산 제작 및 활용 ▲남한산성 미디어아트 콘텐츠 개발 및 운영과 함께 민속체험 프로그램 개발 ▲XR(확장현실) 투어버스 운영 ▲남한산성 패스(주변 관광지, 음식점 등 연계 상품) 개발 및 운영 ▲남문주차장의 중앙분리대 및 역사문화관 앞 회전교차로 설치 ▲역사문화관-성곽 외부주차장 노선을 대상으로 수요 응답버스(DRT) 도입 등을 제시했다. 정대영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남한산성 역사문화관은 남한산성 유물자료의 체계적인 전시・교육・수장뿐만 아니라 남한산성 내 유적・유산, 민속문화 등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관광상품으로 개발하고, 남한산성의 세계유산적 가치를 확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남한산성 역사문화관을 거점으로 남한산성 역사문화 콘텐츠 개발 공모사업 추진, 학술 네트워크 구축 및 마케팅 강화, 남한산성 디지털화 및 남한산성 통합관광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마장도서관 개관 4주년 기념 ‘4랑해, 마장 그린워킹’ 22.05.27 다음글 한국도자재단,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박물관 도자 문화 강좌’ 참가자 선착순 모집 22.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