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세주 경기도의원, ‘안성유기’ 전통 계승과 발전을 위해 경기도 무형문화재 지정 필요성 강조”
김완규 2023-08-04 11:46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황세주 경기도의원, ‘안성유기의 전통 계승과 발전을 위해 경기도 무형문화재 지정 필요성 강조

 

359fc6f5a76b126bb7098e7b36e23b54_1691117133_7852.jpg
230804 황세주 의원, ‘안성유기’ 명맥 끊길 우려...경기도 무형문화재 지정 필요성 강조 (1)

 

황세주 경기도의원(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비례)이 최근 안성지역의 안성유기공방을 방문하는 등 관계자들과 면담하고, ‘안성유기의 전통 계승과 발전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359fc6f5a76b126bb7098e7b36e23b54_1691117213_4717.jpg 

230804 황세주 의원, ‘안성유기’ 명맥 끊길 우려...경기도 무형문화재 지정 필요성 강조 (2)

안성유기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안성맞춤의 유래를 경기도 안성에 유기를 주문하여 만든 것처럼 잘 들어맞는다는 데서 유래한다.”라고 제시할 정도로 안성의 대표적인 상징이다. 고서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나 안성약기(安城略記) 등에서도 아주 오래전부터 안성 유기가 궁궐의 진상품이나 불상·종 등의 불교용품이나 가정 생활용품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359fc6f5a76b126bb7098e7b36e23b54_1691117250_4327.jpg
230804 황세주 의원, ‘안성유기’ 명맥 끊길 우려...경기도 무형문화재 지정 필요성 강조 (3)

 

하지만 이와 같은 명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안성유기는 안성시와 경기도의 무관심과 체계적인 지원 부족 속에 명맥이 끊길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황세주 의원이 최근 유기 관계자들과 면담하고 조사한 바에 의하면 전통적인 놋그릇 제작방법은 안성의 주물제작법, 평북 청주의 방짜제작법(두들겨서 만드는 방법), 전남 순천의 반방짜제작법(주물과 방짜 방식의 혼합) 3가지가 있으며, 안성 유기는 구리에 주석이나 아연을 혼합하여 틀에다 붓고 굳힌 다음 다듬고 광을 내는 주물제작법으로 제작된다. 이와같이 복잡한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안성유기는 전통의 비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전수하지 못하는 경우 그 명맥을 이어가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안성시는 주물유기장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한 이후 특별한 지원이나 사후관리를 하지 않는 등 안성유기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충분하게 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황세주 의원은 이러한 안성시의 무형문화재 지원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안성지역의 대표적인 상징이며 자존심인 안성유기의 전통과 계승 발전을 위해 안성유기를 경기도 무형문화재로 지정할 필요성이 크다고 강조하고, 이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