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선감학원 옛터 보존ㆍ활용방안 연구용역 착수...역사문화공간 조성 추진 ○ 선감학원 옛터 보존 관리ㆍ활용 방안 연구 및 역사문화공간 조성 기본계획 수립 ○ 특색있는 역사문화 콘텐츠 개발ㆍ독자적 브랜드 구축 및 근대문화유산 등록 검토 등 서정혜 2024-03-19 07:13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는 20일부터 선감학원 유적지 보호 및 활용을 위한 ‘선감학원 옛터 보존ㆍ관리 및 활용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착수한다고 19일 밝혔다. 경기도청+전경(1)(70) 연구용역은 선감학원 옛터의 지속가능한 보존과 관리, 활용 방안 연구와 함께 선감학원 사건을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한 역사문화공간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마련됐다.선감학원은 1942년 안산시 단원구 선감로 101-19 일원에 설치돼 1982년까지 약 40년간 4천 700여 명 소년들에게 강제노역, 구타, 가혹행위 등 인권을 유린했던 소년 강제수용시설이다.현재 해당 부지(약 9만㎡)에는 과거 아동숙소ㆍ관사ㆍ우사ㆍ염전창고 등으로 사용된 건물 11개 동이 남아있으며, 지난 2022년 10월 진실화해위원회에서 국가와 경기도에 대해 선감학원 유적지(옛터) 보호 조치를 권고한 바 있다.(재)한국자치경제연구원이 올해 12월까지 연구용역을 진행할 예정이며 ▲선감학원 옛터 현장조사 ▲옛터 보존ㆍ활용ㆍ복원 등 타당성 검토 ▲피해자ㆍ지역주민ㆍ도민 의견수렴 및 분야별 전문가 자문 ▲유관기관 협의 및 우수사례 벤치마킹 ▲선감학원 역사문화공간 조성 기본방향 도출 ▲역사문화공간 세부 도입시설 및 운영ㆍ관리 계획 ▲경기도만의 특색있는 역사문화 콘텐츠 개발 및 독자적 브랜드 구축 ▲지역 내 역사ㆍ문화자원 조사 및 연계 ▲근대문화유산 등록 검토 등 옛터 보존ㆍ활용을 위한 구체적 방안이 제시될 전망이다.마순흥 경기도 인권담당관은 “연구용역을 통해 선감학원 옛터와 건물의 가치가 더 훼손되기 전에 보존과 활용을 위한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선감학원 옛터를 국가폭력에 의한 상처를 치유하고 추모하는 평화와 인권의 공간으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올해 선감학원 사건 피해지원 대책으로 ‘선감학원 옛터 보존ㆍ관리 및 활용계획 수립’ 연구용역 예산 1억 5천만 원을 포함, 피해자 지원금ㆍ의료지원ㆍ희생자 유해발굴 등에 총 23억 5천만 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한편, 국가를 대신해 선감학원 사건 희생자에 대한 유해발굴을 추진한다고 밝힌 경기도는 토지사용 승낙, 일제조사 등 사전 절차를 거쳐 이르면 7월부터 본격적인 유해발굴을 시작할 계획이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 작은도서관서 방과후 초등생 위한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24.03.19 다음글 모현도서관, 800권 소장 만화자료실 개방 24.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