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언제나 어린이집’ 개소 100일만에 1,440여 명 이용. 긴급돌봄서비스로 양육부담 덜어
○ 도, ‘언제나 어린이집’ 5개 시군 1,440여 명 지원
- 6개월~7세 이하 취학 전 자녀를 둔 가정, 365일 언제든지 돌봄서비스 이용 가능
서정혜 2024-09-09 07:0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 의정부시에 거주하며 하남시로 직장을 다니는 A()는 주말근무가 있을 때마다 육아 걱정부터 하게 된다. 아내도 주말에 일을 하면 아이 맡길 곳을 찾느라 늘 마음을 졸였기 때문이다. 그러다 최근 직장 근처에 언제나 어린이집이 생겼다는 소식을 듣고 한시름 놓게 됐다. A씨는 주말에도 원하는 시간만큼 이용할 수 있으니 마음 편하게 일할 수 있다아이 키우는 입장에선 믿고 맡길 수 있는 곳인지가 가장 중요한데, 언제나 어린이집은 맞벌이 부부에게 최고의 서비스라고 말했다.

 

04b180b36fbbefe8b28eb592cff35f92_1725833077_8772.jpg
언제나어린이집(김포)

 

#. 시흥시에 거주하는 한부모가정 B()는 갑작스러운 주말 근무에 자녀를 맡길 곳을 찾지 못해 난처했고 급하게 365일 돌봄시설을 찾던 중 김포시 언제나 어린이집을 알게 됐다. B씨는 긴급하게 신청했는데도 바로 이용할 수 있었다. 아이를 하룻밤 맡겼는데 비용도 저렴했고, 무엇보다 다른 지역에 거주해도 이용가능해 매우 만족했다고 말했다.

경기도 내 영유아에게 36524시간 긴급돌봄 서비스를 지원하는 언제나 어린이집의 이용자수가 서비스 시작 100일여 만에 1,440명을 넘어섰다.

 04b180b36fbbefe8b28eb592cff35f92_1725833108_8493.jpg

언제나어린이집(하남)

경기도는 언제나 어린이집’ 5곳이 지난 61일 문을 연 이후 영유아 이용자가 1,440여 명(9월 첫째 주 기준)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언제나 어린이집은 맞벌이자영업, 갑작스런 돌봄이 필요한 가정 등 일시적긴급한 상황에 언제든지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36524시간 운영 보육시설이다.

 

04b180b36fbbefe8b28eb592cff35f92_1725833145_9477.jpg
언제나어린이집+포스터_1

 

경기도 내 거주하는 영유아(6개월 이상~7세 이하 취학 전)를 둔 부모라면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해도,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녀도 아무런 조건없이 필요한 시간에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

지난 61일 개소한 언제나 어린이집’ 5곳은 아람어린이집(부천시), 시립힐즈파크어린이집(남양주시), 시립금빛하늘어린이집(김포시), 시립행복모아어린이집(하남시), 이천시 24시간 아이돌봄센터(이천시). 해당 시군 외 인근 시군에서도 경기도민이면 모두 이용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은 의정부, 시흥, 광주, 용인, 안산, 구리, 여주, 성남 등에 거주하는 도민들도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다.

돌봄이 필요한 가정은 이용 당일 오후 3시 전까지 언제나 어린이집(5개소) 또는 아동언제나돌봄센터(010-9979-7722)로 전화해 문의·신청하면 된다. 이용시간은 오전 730분부터 다음 날 오전 730분까지 24시간이며, 다가오는 추석 명절에도 당일(917)만 제외하고 운영한다. 이용요금은 시간당 3천 원이다.

보호자(신청인)는 신분증, 영유아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외국인의 경우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를 지참하고, 자녀에게 필요한 준비물(기저귀, 개별침구, 여벌 옷, 간식 등)을 개별적으로 준비하면 된다.

김미성 경기도 여성가족국장은 갑자기 아이를 맡겨야 할 때 믿고 맡길 수 있는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통해 육아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긴급틈새보육을 발전시키고 일과 가정생활을 균형있게 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