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31일 남한산성역사문화관 개관. 다양한 전시와 교육 진행
○ 경기도, 세계유산 남한산성의 위상을 알리는 남한산성역사문화관 개관
- 개관식 : 2024.10.31.(목) 15:00~
○ 남한산성의 역사와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전시와 교육 등 도민에게 선보여
김완규 2024-10-28 07:30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우리나라의 11번째 세계유산인 남한산성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고 전시와 교육이 이뤄지는 특별한 공간 남한산성역사문화관31일 문을 연다.

 

5222e296e8839079b99aaed69fd13fdc_1730068181_3427.png
역사문화관+(1)

 

남한산성 역사문화관은 2014년 남한산성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시 경기도가 약속했던 사항으로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일원에 건축연면적 2963(지하 1·지상 2) 규모로 250억 원(국비 125억 원, 도비 125억 원)을 들여 완공됐다.

역사문화관은 지하 1층 수장고 지상 1층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다목적홀, 강당 지상 2층 하늘정원 등으로 구성됐다.

 

5222e296e8839079b99aaed69fd13fdc_1730068210_0745.png
역사문화관+(2)

 

남한산성역사문화관의 상설전시실에는 인류의 공동 유산을 주제로 한 남한산성의 탁월함과 우수성을 소개하는 전시가 진행된다. 신라부터 근현대에 이른 남한산성의 역사를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인터렉티브(쌍방향) 전시를 통해 보여준다. 남한산성 축조에 기여한 벽암대사의 진영(眞影·고승의 초상화) ‘국일도대선사 벽암존자 진영과 남한산성을 방문한 헨드릭 하멜의 하멜표류기등도 있다.

기획전시실에서는 병자호란의 기억을 중심으로 남한산성에서의 47일간의 항전을 다룬다. 조선시대의 다양한 무기류들을 통해 화포의 발달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역사문화관의 특징적인 공간으로 구성된 보이는 수장고에서는 산성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신라와 조선의 기와를 미라클글라스(영상스크린으로도 이용이 가능한 접합유리) 영상으로 구현해 기대를 모은다. 특히 남한산성 행궁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의 초대형 기와가 전시돼 1400년간 이어진 기술과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역사문화관의 개관을 기념하기 위한 개관식은 1031일 오후 3시부터 시작한다. 이날 개막공연에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이자 국가무형유산 제58호인 줄타기공연이 있다. 그동안 남한산성의 세계유산 등재와 보존·관리·활용에 도움을 준 지역민과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김상수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시월의 마지막 날, 남한산성의 가치를 전세계에 소개하는 역사문화관을 개관하는 뜻깊은 자리에 많은 분들이 오셔서 우리 역사의 소중함을 함께 나누시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