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근 부위원장 “세교동 지하차도 사례, 예방 중심 재난 관리 모범”
○ 침수예상 지역 중심 사전 차단 조치 통한 인명피해 예방 사례
○ 풍수해보험 집행률 저조 원인 분석 및 농어촌 가입률 제고 방안 마련 필요
김완규 2025-06-17 09:1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윤성근 부위원장(국민의힘, 평택4)616일 진행된 2024회계연도 결산 심사에서 안전관리실을 대상으로 평택 세교동 지하차도의 침수 대응 사례를 언급하며, 사전 예방 중심의 재난관리 체계 확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cff63fd5c5331630369ea814102a7849_1750119418_0249.jpg
250617 윤성근 의원, “세교동 지하차도 사례, 예방 중심 재난 관리 모범”

 

이번 결산 심사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빈발하는 집중호우와 도시침수 등 재난 상황에 대비해, 경기도의 사전 대응 및 매뉴얼 체계의 적절성을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제안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성근 부위원장은 작년 여름, 세교동 지하차도에서 침수 위험이 예측되자 사전에 차량 통제를 통해 인명 피해를 막은 사례는 경기도의 선제적 대응 역량을 잘 보여준 것이라며 이와 같은 사례가 전국적으로 공유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윤 부위원장은 이러한 사례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침수 위험지역을 체계적으로 지정하고, 사전 차단 매뉴얼을 표준화해 전 시군에 적용해야 한다예방 중심의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윤 부위원장은 풍수해보험 사업의 실집행률이 67%에 불과한 점을 지적하며, 특히 농어촌 지역 고령자의 가입률 제고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답변에 나선 이종돈 안전관리실장은 풍수해보험 가입률 제고를 위해 자녀가 고령의 부모를 대신해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윤성근 부위원장은 재난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실효성 있는 제도적 장치와 세밀한 사전 대응만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다앞으로도 도의회 차원에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정책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는 향후 재난 사전예방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하고, 실효성 있는 풍수해보험 확대 방안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도민의 안전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