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지난해 사회적경제 제품 우선 구매액 4,001억 원…전년 대비 20% ↑ ○ ’21년 우선구매 실적 4,001억 원으로 전국 첫 4,000억 원 돌파 전망 ○ 지속적인 민간위탁 분야 사회적경제기업 참여 확대 우대정책으로 결실 맺어 ○ ’22년 우선구매 목표액 4,500억 원으로 설정하고 모든 역량 집중 예정 오예자 2022-03-16 11:02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의 지난해 사회적경제기업 우선 구매 실적이 4,001억 원으로 역대 최고 액수를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약 2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경제+우선구매+시군+영상회의 경기도는 행정안전부가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실시한 지자체 합동평가 결과 경기도 사회적경제(인증ㆍ예비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분야 우선구매 실적을 4,001억 원으로 확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사회적경제+우선구매+시군+영상회의(2) 전년도인 2020년 우선 구매액 3,335억 원과 비교해 약 20% 증가했으며, 당초 민선 7기 경기도의 최종(2022년) 목표치인 4,000억 원을 1년 앞당겨 달성한 셈이다. 기관별 실적을 보면 도는 283억 원이었고 시‧군에서는 성남시 796억 원, 화성시 610억 원, 시흥시 319억 원, 남양주시 250억 원 등의 순이었다. 평가지침에 따라 각종 지원금ㆍ보조금과 도 출자‧출연기관의 구매실적 등은 제외됐다.이번 성과는 도와 시‧군이 행사와 용역 등 민간 위탁 부문을 사회적경제 기업과 적극 위탁한(전체 48% 1,942억 원)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됐다. 도의 경우 사회적 경제조직의 참여를 확대하고자 2019년 관련 조례를 개정해 가산점 부여 등 우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도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2022년 구매목표액을 4,500억 원으로 상향 설정했다. 이에 따라 도는 2월 말 도와 시‧군간 영상간담회를 개최한 데 이어 3월 말 24개 도 산하 공공기관 영상간담회, 5월 공공기관과 사회적경제 기업이 참여하는 공공구매 상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이현호 경기도 사회적경제과장은 “이번 실적은 코로나19로 정상적인 사업 추진이 어려운 가운데 일궈내 그 의미가 크다”며 “경기도는 선도적인 사회적경제 정책을 지속 추진해 공공구매 정책이 잘 자리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예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도, 문화자치 활성화 사업 공모 결과. 양주시 등 5곳 선정 22.03.16 다음글 도, ‘신중년-청년 세대융합’으로 성공 창업 생태계 조성‥올해 30개 팀 지원 2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