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소방재난본부, “여름철 ‘벌 쏘임 사고’ 주의해야” 당부
○ 북부소방재난본부, 벌 쏘임 사고 ‘경보’ 발령에 따른 벌 쏘임 사고 주의 당부
- 지난해 1년간 벌집 제거 출동 1만7,324건 발생, 7~9월 사이 집중 발생(84%)
- 벌 쏘임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 이상 반응 시 즉시 119 신고해야
○ 북부권역 11개 소방서 순회 점검 등 대응 태세 강화
- 벌집제거 장비 운용실태 확인 및 안전사고 방지 교육 등
서정혜 2022-08-08 07:30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본부장 고덕근)는 여름철을 맞아 8~9월 중 벌 쏘임 사고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사고 예방을 위한 도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64f88e26501b3d6a474a1401eb97b5bb_1659911397_8311.png

 

이는 최근 폭염 등 여름철 고온 현상으로 벌의 활동이 활발해진데다, 본격적인 휴가철에 접어들며 등산·휴양 등 야외활동이 증가해 벌 쏘임 사고 위험 역시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경기북부 지역에서 벌집 제거 관련 소방 출동 횟수는 총 17,324건으로, 이 중 84%(4,548)가 여름철인 7~9월 사이에 집중됐다.

 

64f88e26501b3d6a474a1401eb97b5bb_1659911433_2386.png

 

소방청 역시 지난달 27일 오후 2시부로 전국에 벌 쏘임 사고 경보를 발령한 상황이다. 이 경보는 벌 쏘임 사고 위험지수가 80을 넘을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된다.

이에 북부소방재난본부는 벌집 제거 출동이 증가할 것에 대비해 지난 81일부터 4일까지 북부권역 11개 소방서를 대상으로 순회 점검을 벌이는 등 대응 태세 강화에 나선 상태다.

구체적으로 벌집 제거 보호복, 원격 말벌퇴치기 등 소방서별 벌집 제거 장비 운용실태를 면밀하게 살피고, 출동대원 대상 안전사고 방지 교육 등을 시행했다.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 시 향수나 스프레이 등 자극적인 향을 몸에 뿌리는 행위를 자제해야 하고, 어두운색보다는 흰색 등 밝은색 계열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속히 벌침을 제거하고 쏘인 부위를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 냉찜질을 해주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만약 벌 쏘임으로 인해 이상 반응(호흡곤란, 속이 메스껍고 울렁거림, 구토, 설사, 어지러움, 전신 두드러기 등)이 있을 경우에는 즉시 119에 신고한 후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고덕근 본부장은 말벌의 경우 추석을 기점으로 30일 전부터 벌 쏘임 사고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8월부터 10월 사이에 활동이 가장 왕성한 만큼 벌 쏘임 사고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달라고 당부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