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항생제 내성균 감염증 증가세. 고령층 등 감염취약 계층 주의해야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항생제 내성균 감염 주의 당부
- 경기도 CRE 감염증 신고와 확인검사 건수 매년 증가
- 북부 확인검사 대상 중 70세 이상 고령 인구 67%로 고령층 감염관리 주의 필요
김완규 2022-11-30 08:35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최근 5년간 항생제 내성균의 일종인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 CRE)’ 감염증 신고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며, 고령층 등 감염취약계층의 주의를 당부했다.

63c2f3c6cc176c6e421095867d1acb90_1669764798_3895.jpg
그래픽보도자료(로고버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연구원이 CRE 검사를 시작한 2018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지역 의료기관에서 의뢰된 도내 CRE 검사 및 양성 확인 건수가 2018년 검사 1128, 양성 928(양성률 82%) 2019년 검사 2184, 양성 1717(양성률 79%) 2020년 검사 3473, 양성 2748(양성률 79%) 2021년 검사 5388, 양성 4514(양성률 84%) 2022년 검사 5420, 양성 4722(양성률 87%) 등으로 검사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63c2f3c6cc176c6e421095867d1acb90_1669764865_9548.jpg
사진자료

특히 북부지원이 올해 북부지역 검사 1886건을 분석한 결과, 70세 이상 고령 인구가 1268건으로 전체 67.2%를 차지했다. 검사 의뢰기관도 요양병원이 568(전체 30%)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은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가 제한돼 혈류감염, 폐렴, 요로 감염 등 다양한 중증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환자 등 병원체 보유자 간 접촉이나 병원 내 오염된 기구, 물품, 환경표면을 통해 전파되는 만큼 의료기관 감염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CRE 감염증 환자는 이용 가능한 항생제가 제한되기에 환자 치료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사망률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앞으로도 신속 정확한 검사를 통해 감염 예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민 건강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