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8명, “3고 경제위기로 스트레스”
○ 경기연구원, <위기상황에서의 취약계층 정신건강 실태 및 정책적 대응 방안> 발간
○ 정신건강 수준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문제를 진단하고 유형별로 맞춤형 지원 필요
○ 정신건강센터 인지도를 높여 상담 기회와 접근성을 높이고, 정신건강상담 및 진료에 대한 낙인효과가 생기지 않도록 인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해야
서정혜 2023-02-09 07:41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민 10명 중 8명은 3(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경제위기로 스트레스가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06a05e606ca096afa5a7352aa2e6c676_1675895918_9151.JPG 

경기연구원은 20221124~121일 경기도민 1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위기상황에서의 취약계층 정신건강 실태 및 정책적 대응 방안보고서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06a05e606ca096afa5a7352aa2e6c676_1675895994_2565.jpg
PHQ-9+점수별+판정+방법

우선 3(고금리, 고물가, 고환율)로 인해 스트레스가 늘었다는 응답자가 84.5%에 달했다. 성별로는 여자 87.8%와 남자 81.3%, 연령별로는 4087.7%, 3086.7%, 5085.5%의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3고 스트레스 응답률은 코로나19 스트레스 응답률 72.3%보다 높다.

06a05e606ca096afa5a7352aa2e6c676_1675896030_0166.jpg
우울증+심각도의+변화+비교,+2021-2022

우울증(PHQ-9) 심각도는 20213월 도민 조사와 비교 시 우울증에 해당된다16.5%에서 56.8%로 증가했다. 우울증 평균 점수는 6.92점인데, 이는 우울증이 만연해 있는 것으로 분석돼 코로나19 장기화와 함께 3고 현상과 같은 경제위기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06a05e606ca096afa5a7352aa2e6c676_1675896057_2378.jpg
위기와+스트레스+수준+변화

우울증(PHQ-9) 심각도의 가구 특성 중 기초생활수급가구의 우울증 점수는 9.59점으로 비수급 가구 6.41점과 비교해 3점 이상 차이 났다. 가구형태별로는 혼자 사는 사람의 우울 수준(8.03)이 다인가구 거주자(6.25)에 비해 높아 취약계층 여부에 따른 우울 수준의 편차가 컸다.

3고 경제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과 우울증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증 점수도 일관되게 높아지고 있는데, ‘스트레스를 매우 받는다는 응답자의 우울증 점수는 8.20점으로 보통’ 5.68, ‘전혀 받지 않음’ 2.42점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였다.

이에 연구원은 정신건강 수준의 악화를 예방하기 위한 유형별 맞춤형 지원 전략으로 위기 특성에 맞는 취약계층 선별 대책, 사각지대 발굴 위기상황 종료 후 자살률 증가를 대비한 선제적 대응 정신건강 수준 악화 예방 위한 유형별 맞춤형 지원 정신건강센터 인지도 제고 및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변화 상담센터와 행정복지센터 연계 서비스 강화를 통한 사각지대 최소화 정확한 정신건강 수준 파악 위한 꾸준한 조사 및 변화 확인 등을 제시했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신건강 유형과 정신건강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요인들을 점검하여 맞춤형 지원을 제공돼야 한다최근 위기(코로나19와 경제위기) 상황에서 정신건강 문제는 경제적 어려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점에서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 연락해 상담을 원하는 경우 행정복지센터로 연계하는 서비스 제공 등의 방안 검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