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는 겨울철에 집중, 농기계 안전사고는 3~5월에 주로 발생
○ 2020~2022년 최근 3년간 경기도 발생 농기계 안전사고 201건(인명피해 177명)
- 계절별로 봄철 영농기(3~5월) 35% 차지해 계절별 최다 발생. 60세 이상 72%.
- 경운기‧트랙터가 사고비율 72% 차지, 각별한 관심과 주의 요망
- 경기소방 “안전수칙 준수하고 농기계 철저히 점검해 달라”
서정혜 2023-04-05 08:01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운기와 트랙터 등 농기계 사고 3건 중 1건은 봄철(3~5) 영농기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전체 사고의 70% 이상이 발생했고, 화성과 파주, 안성, 평택 등 도농복합지역에 사고가 집중됐다.

2ab153e61395611a3200192df61afdd7_1680649237_7531.jpg
농기계+안전사고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재난정보분석팀이 5일 발표한 농기계 안전사고 유형별 통계분석 보고에 따르면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농기계 안전사고는 지난 202084, 202152, 202265건으로 최근 3년간 총 201건이었다. 인명피해는 202079(사망 14), 202140(사망 3), 202258(사망 11)으로 3년간 177(사망 28) 발생했다.

최근 3년간 계절별 발생현황을 보면 봄철 영농기인 3~571건이 발생, 전체 35%를 차지해 가을철 수확기(9~11) 57(28%)보다 많았다. 요일별로는 월요일(3517%), 시간대별로는 오후 3~5(4522%)에 사고가 빈번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128명이 목숨을 잃거나 다쳐 전체의 72%를 차지했다. 기계별로는 경운기가 82(41%)으로 사고가 가장 많았고, 트랙터 62(31%), 지게차굴삭기 각 6(3%), 콤바인 4(2%)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 유형은 농기계단독이 168(84%)으로 대부분 단독사고로 나타났으며, 농기계 대 차량이 19(9%), 농기계 대 사람이 12(6%) 등으로 뒤를 이었다. 원인별로는 전도전복이 61(30%), 끼임 51(25%), 깔림 24(12%), 교통사고 23(11%) 순으로 많았고, 사고 장소별로는 일반도로 50(25%), 45(22%), 농로 42(21%) 순으로 사고가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화성 38(19%), 파주 19(9%), 안성 18(9%), 평택 17(8%) 등 도농복합지역에 집중됐다.

조선호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장은 농기계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연령대가 높고, 농기계 사고의 치사율이 교통사고에 비해 11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농기계 후방 추돌사고 방지를 위해 야광반사판과 조향등과 같은 안전장치를 반드시 설치해 달라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