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공간 특화 6개 클러스터 조성해야”
○ 경기연구원,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디자인 문화공원 조성 방향> 발간
○ 미군 반환기지 CRC 기존 시설 보존·활용으로 지역 브랜드화 추진
○ 경기도, ‘CRC-70’ 추진 정책적 지원으로 반환공여구역 활용 선례 만들어야
서정혜 2023-10-05 07:48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2022년 반환 결정된 의정부시 캠프 레드클라우드가 지난 70년을 기억하고 앞으로의 70년을 선도할 수 있는 디자인 문화 공원으로 조성되기 위해 경기도와 의정부시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637b0568499ee530866c48a44661332a_1696459649_5765.jpg
CRC+디자인+문화+공원+디자인+컨셉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디자인 문화 공원 조성 방향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

캠프 레드클라우드(CRC)19537월에 의정부시 가능동 일원에 미국 제1군단이 캠프 잭슨기지가 조성한 후에 19575625 참전용사로 명예 훈장을 받은 미첼 레드 클라우드 Jr.’ 상병(1925~1950)을 기리기 위해 기지명캠프 레드 클라우드로 변경한 기지다. 캠프 레드클라우드의 부지면적은 836(253330)로 의정부시 북서측 시가지와 접하고 있다.

 

637b0568499ee530866c48a44661332a_1696459678_8081.jpg
CRC+디자인+문화+공원의+구역별+조성+방안

 

고속도로, 양주-서울 간 도로, 국도, 1.5km 이내에 1호선 경원선이 통과고 있어 접근성이 우수하며, 주변은 북한산 국립공원~호명산으로 이어지는 녹지축이 있어 자연경관이 양호하다. 그러나 지역 간 균형발전 촉진, 주민 삶의 질 향상, 주한미군 재배치에 따른 지역주민 생활 안정 등을 도모하기 위해 미군 반환기지 활용이 절실한 상황이다.

 

637b0568499ee530866c48a44661332a_1696459710_6248.jpg
CRC+디자인+문화+공원의+조성+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의정부시는 2022년 반환 결정된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기존 시설 보존활용을 통한 디자인 문화공원 조성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원은 근현대 역사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는 캠프 레드클라우드(CRC)의 장소적 특성을 재발견하고 공간 특성에 의해 축적된 경험의 가치를 텐츠로 활용하고자 흔적을 기억하고 장소를 존중하는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디자인 문화 공원 도시의 흐름과 소통하는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디자인 문화 공원 미래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역량으로서 디자인과 문화예술이 만나는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디자인 문화 공원 자생력으로 지속가능한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디자인 문화 공원의 4가지 기본구상과 함께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공간 특성을 고려한 6개 구역별(스포츠, 지역관광, 미래에너지, 디자인, 상업, 지역산업)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제시했다. 향후 70년 창조(Creation)와 회복력(Resilience)의 공진화(Coeveolution)를 이루는 디자인 문화 공원을 상징하는 개념인 변화로 미래를 창조하는 CRC-70’을 도출, ‘CRC-70’의 브랜드화도 제시했다.

김성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의정부시는 공간의 역사성, 정체성을 반영할 수 있는 ‘CRC-70’ 조성 필요성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이 우선돼야 하고, 전체 부지의 일괄적인 개발활용보다 단계적 활용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향후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디자인 문화 공원 조성과 운영관리를 위한 단계, 체계적 후속 과제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어서 경기도의 도내 기초 지자체의 반환공여구역 활용을 위한 토지매입 및 조성 필요 예산 지원 관련 조례 제개정을 통한 반환공여구역 활용 활성화를 위한 조항 마련 관계부처(국방부, 환경부 등)와의 협의 지원 등 경기도 차원에서의 행재정적 지원 필요성을 제시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