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기FTA센터, 화장품 유럽 수출 위한 필수 인증 지원 확대. 300만➝350만 원
○ 2024년 비관세장벽 대응 해외인증(CPNP)취득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실시
- 4월 9일까지 유럽 화장품 수출기업 대상 참가기업 온라인 신청 모집
- 비관세장벽 해외인증 통상 애로 해소 지원 확대로 전년 대비 지원금 상향 지원
- 경기도 내 10개사 선정 후 CPNP 등록 제반 비용 후 환급 방식으로 지원
○ 유럽 화장품 수출기업의 수출경쟁력 향상 및 통상애로 해소 창구 역할
서정혜 2024-03-31 08:0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화장품 기업의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경기도와 경기지역FTA통상진흥센터가 기업들의 필수 해외인증 CPNP(Cosmetic Products Notification Potal) 비용을 지원하는 ‘2024 비관세장벽 대응 해외인증(CPNP) 지원사업신청을 49일까지 받는다.

 

20a41b417b630e7a5d1a13d09e2f6745_1711840162_5175.jpg
경기도청+전경(1)

 

CPNP는 유럽연합(EU)의 공식 화장품 온라인 등록(신고) 포털사이트로, 유럽연합 27개국과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4개국에 유통되는 모든 화장품은 CPNP를 통해 등록해야 한다. 국내에서는 의약외품으로 분류되는 치아미백제 및 치아 세척소독 제품 등이 유럽에서는 화장품 규제 대상에 포함돼 관련 품목의 유럽 수출을 준비하는 기업은 이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는 관련 기업 10개 사에 인증에 필요한 비용을 최대 350만 원까지 지원한다. 지난해 300만 원보다 지원금이 커졌다. 기업은 우선 자부담한 후 지원금을 환급받으면 된다. 지난해 10개 사 모두 국비 지원에서 올해는 도비 2개 사, 국비 8개 사로 변경됐다.

신청 대상은 유럽으로 화장품 수출을 준비하는 경기도 내 전년도 수출 금액 2천만 달러 이하 중소기업이다.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은 전자우편으로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FTA센터 누리집(https://ggfta.or.kr) 공지 사항 및 경기FTA센터 대표번호(1688-4684)를 통해 문의 가능하다.

이민우 경기도 투자통상과장은 점차 강화되는 비관세장벽으로 통상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첫 관문인 해외 인증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경기FTA센터와 함께 올해 비관세장벽 대응 지원사업을 확대해 출상담회, 할랄 인증과 CPNP 인증취득을 확대하겠다. 도내 기업들이 비관세장벽을 넘어서 대응 능력을 갖춰 수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CPNP 등록은 제조사 정보 확인과 안전성 테스트 등을 거쳐 유럽 내의 책임자(RP) 선정 및 계약 체결, 제품 정보 파일(PIF)과 화장품 제품 안정성 평가 보고서(CPSR)를 필수로 작성해야 가능하다. 이러한 절차는 해외 인증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제품별로 등록돼야 하기에 중소기업으로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