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기원, 과수 화상병 확산 방지 대응 집중 ○ 경기도농기원 과수화상병 주요 발생 시기인 5월 확산 방지 총력 - 과수화상병 합동예찰 및 현장진단실 운영으로 신속한 매몰․방제체계 구축 - 사과, 배 재배농가 대상 집합교육 및 홍보 리플렛 배부 등으로 예방 약제 적기 살포 독려 서정혜 2024-05-16 07:50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올해는 평년 대비 따뜻한 기상과 많은 강우로 화상병 발생이 증가할 전망인 가운데 경기도농업기술원이 화상병의 주된 발생 시기인 5월을 맞아 합동 예찰 등 과수화상병 확산 방지를 위한 대응에 돌입했다고 16일 밝혔다. 과수화상병+확산방지1 도 농기원은 과수화상병 확산 방지를 위해 29개 시군에 식재된 사과, 배 과수원 전체를 연 4회(5월, 6월, 7월, 10월) 합동 예찰해 정밀한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합동 예찰 1차는 5월 20일부터 31일까지 도와 시군 160명의 인원을 구성해 운영한다. 과수화상병+확산방지2 도 농기원은 5월부터 경기도, 강원도(일부), 충청남도의 발생지역에서 예찰․신고된 시료를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농촌진흥청 협업 과수화상병 현장진단실을 운영하고 있다.올해 초부터는 예찰․방제 연시회 및 월동 정밀예찰을 추진했으며, 사과, 배 재배 농가 대상 집합교육 및 홍보물 배부 등을 통해 과수화상병 예방 약제 적기 살포를 적극 독려하고 있다.성제훈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도-시군 합동 예찰 추진도 중요하지만, 농업인의 관심 및 예찰, 신고가 가장 중요하다”며 “도농기원도 과수화상병 확산방지를 위해 관계기관과 협업해 현장 예찰 강화 등을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과수화상병은 사과, 배 등 장미과 180여 종에서 발병하며, 잎 ․ 꽃 ․ 가지 ․ 열매 등이 마치 불에 그을린 것처럼 조직이 검거나 갈색으로 마르는 식물방역법상 금지급 검역 병해충이다. 또한 전파 속도가 빨라 발생 시 10일 이내에 반드시 공적 방제를 해야 한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정윤경 도의원,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추진현황 보고 받고 살피다 24.05.16 다음글 경기도, 우기 대비 재해복구사업장 사전 현장합동점검 실시 2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