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축산재해 상황반 운영 등 여름철 축산농가 피해 예방에 총력
○ 경기도 여름철 축산재해 대응 TF상황반 운영으로 대응력 강화
- 폭염 등 여름철 축산분야 재해 비상근무체계 돌입
○ 재해별·축종별 가축관리 행동요령 배포
- 혹서기 집중사양관리 및 전기 안전점검 요령 배포
○ 가축재해 예방 및 피해 복구 위해 총사업비 203억원 투입
- 면역증강제, 가축재해보험, 축사 전기안전 강화, 재해 긴급 복구
서정혜 2024-06-04 07:23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가 여름철 축산농가 피해를 줄이기 위해 930일까지 축산재해 대응 상황반을 운영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선다.

 

cf28f1748a60b850cda02e8f924d7892_1717453395_7547.jpg
경기도청+전경(1)(2)

 

도는 축산재해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4개반 19명으로 구성된 여름철 축산재해 대응 상황반을 구성해 527일부터 가동에 들어갔다. 상황반은 폭염 피해 예방과 집중호우, 태풍 대응 등 비상근무 단계에 따라 상황근무를 실시할 예정이다.

상황반에서는 31개 시군과 TF팀을 구성해 기상정보와 재해별 행동요령을 신속하게 전파하고, 가축폐사 등 피해 발생 집계, 긴급복구 등을 통해 여름철 축산재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한, 도는 올해 도비 95억 원을 비롯한 총사업비 203억 원을 투입해 면역증15kg을 비롯해 전기 비상발전기와 낙뢰피해방지시스템을 64곳에 지원한다. 피해 발생 시 보험제도를 통한 보상 받을 수 있도록 가축재해보험 가입도 지원한다.

이 밖에도 폭염·전기화재·집중호우·태풍 발생 시 축종별 가축 관리와 축사 관리 행동 요령을 농가 및 생산자단체에 배포하고, 재해 취약 농가에 대해 사전점검을 실시 하는 등 피해를 예방할 계획이다.

산농가에는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정사육 두수 유지, 깨끗한 음용수 공급, 축사 지붕 물 뿌리기, 환기팬 가동, 차광막 설치, 정기적 소독을 통한 위생관리 등을 당부했다.

여름철 전기량 사용 급증으로 인한 축사 화재와 낙뢰,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축사 내 전기설비 안전관리 점검 실시, 축대 보수 및 축사 주변 배수로 정비, 정전 발생 시 열,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 등 가축 폐사 예방을 위한 자가발전기 등 비상용 에너지 확보 등도 당부했다.

김종훈 경기도 축산동물복지국장은 지난해 여름철 재해로 인한 경기도 가축 피해는 273166천두에 달했다면서 재해는 예측할 수 없기에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축산농가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31개 시군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