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중범 의원, 광명 소화동 화재취약주거지(일명 ‘판자촌’)의 화재안전대책 강구 요청
○ 광명 소하동 ‘판자촌’ 109세대 밀집.. 화재발생시 큰 피해 우려
○ 광명서장, “적극적 예방활동 등을 통해 화재발생 없도록 만전 기할 것”
김완규 2024-11-15 09:48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국중범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남4)은 지난 13() 광명소방서에서 진행된 2024년 행정사무감사에서 광명시 소하동에 밀집한 화재취약주거지 등에 대해 소방당국의 적극적인 화재안전대책 강구를 요청했다.

 

a90ba938d8a44643e07ef637fc45b98a_1731631670_0823.jpg
241115 국중범 의원, 광명 소화동 화재취약주거지의 화재안전대책 강구 요청

 

국중범 의원은 이날 이종충 광명소방서장의 업무보고를 청취 한 후 소하동 등에 밀집된 일명 판자촌이라 불리는 화재취약주거지에 대한 예방관리 추진사항을 점검했다. 국 의원은 소하동 판자촌은 목조 슬레이트 단층구조로 지어진 가구가 밀집되어 있는 관계로 화재 발생시 이웃집 등으로 확산이 쉽게 이뤄질 수 있는 지역이라며 해당 지역에 대한 광명소방서의 화재예방 및 대응계획 수립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물었다.

이종충 서장은 뚝방촌의 경우 화재발생시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상식 소화전보이는 소화기 함을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실거주 주택 거주자 표시, 주민대상 화재안전 컨설팅 및 정기적인 예방순찰, 광명시 및 전기협회 등과 함께 합동 안전점검 등을 실시하고 있다, “해당 지역의 화재진압작전도를 자체 제작하여 각 소방차량에 비치·운용하고 있고, 비상 대응단계 수준의 화재진압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더 철저히 대비해 해당 지역에 화재발생이 이뤄지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 다짐했다.

국 의원은 광명서의 그간 적극적인 화재예방 및 대응조치로 인해 해당 지역이 화재취약가구 밀집됐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간 큰 화재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던 것 같다라 칭찬하며, “앞으로도 화재취약주거지에 대해 적극적인 화재예방활동에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국 의원이 언급한 광명 소하동 701번지의 경우, 1980년대에 조성된 판자촌이 경기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대표적 화재취약지역이다. 현재 109세대가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판자 및 슬레이트 지붕이 가구마다 연결되어 있어 화재확산 및 많은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대표적 화재취약주거지이다. 특히 지난해 초 서울 구룡마을 판자촌 대형 화재로 인해 순식간에 60세대가 소실되며 판자촌의 화재 취약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된 바 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