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의원, 외투기업단지 입주율 편차 커… 단지별 맞춤형 활성화 전략 마련해야 ○ 평택은 포화, 파주는 절반 수준… 기반시설·정주여건 등 구조적 요인 개선 필요돼 ○ 준공 20년 넘은 노후 단지는 단계별 유지보수 계획 세워야 김완규 2025-11-24 20:01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김상곤 의원(국민의힘, 평택1)은 24일(월) 국제협력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6년도 경기도 예산안 심사에서 외국인투자기업 전용단지의 입주율 편차와 노후화 문제를 지적하며, 단지별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대책을 주문했다.251124_김상곤_의원__외투기업단지_입주율_편차_커..._단지별_맞춤형_활성화_전략_마련해야1 김상곤 의원은 이날 질의에서 “경기도가 운영 중인 외국인투자기업 전용·임대단지는 평택·화성·파주 등 3개 시에 8곳이며, 평균 입주율은 80.2%로 보이지만 단지별로 편차가 크다”며, “평택 어연한산·추팔·포승은 95~100% 포화 상태인 반면, 화성 장안1·장안2는 60%대, 파주 당동은 57%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251124_김상곤_의원__외투기업단지_입주율_편차_커..._단지별_맞춤형_활성화_전략_마련해야1 또한 김상곤 의원은 “1999년부터 2006년 사이 조성된 단지들은 이미 준공 20년을 넘긴 노후 단지로, 앞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급증할 수밖에 없다”며, “임대수입 대비 관리비 부담이 커지는 구조인데, 도가 이를 장기적으로 대비할 예산 계획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면 도는 더 이상 방치해선 안된다”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국제협력국 박근균 국장은 “입주율이 낮은 단지는 기반시설이나 정주여건 등 환경적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기관과 협의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답변했다. 마지막으로 김상곤 의원은 “외국인투자기업 유치는 단순한 입주율 숫자 경쟁이 아니라, 지역산업과 연계된 질적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며, “낮은 입주율 단지의 구조적 문제를 면밀히 진단하고, 노후 단지의 유지보수 예산을 선제적으로 확보해 외투기업단지가 실질적인 경제거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완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김재훈 의원, “경기도 사회공헌활동 컨트롤타워 필요…센터 설치 시급” 25.11.24 다음글 박상현 경기도의원, “군 유휴지·실증 인프라 확보가 방산혁신의 출발점” 촉구 25.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