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 시민 품으로...희망텃밭, 주민 공유공간 등 조성
○ 장애인 텃밭, 친환경 논 등 희망텃밭 운영을 통한 주민 참여 공간 확대
○ 유통센터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공간 재정비로 편의성 증진, 주민 간
소통 확대 기대
오예자 2021-12-06 06:21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가 희망텃밭 조성, 유통센터 공간 재정비를 통해 시민과 함께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24790f56bf17e10f2407c746c2a78ae8_1638739268_9318.jpg
(사진자료)경기도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전경

 

경기도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는 광주시 곤지암읍에 위치한 26,000규모의 종합물류센터로 집·배송장, 저온저장고, 사무실 등이 있다. 2012년 완공 후 민간 기업이 8년간 운영했으며, 지난해 11월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이 운영 주체로 선정되면서 센터 곳곳을 시민 참여 공간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희망텃밭은 유통센터 공원 내 방치돼 있던 육묘(育苗)장 부지를 활용해 만들었으며, 980크기에 장애인 텃밭, 상자형 텃밭, 친환경 논 등이 조성돼 있다.

진흥원은 지난 10월부터 현재까지 인근 초등학교 2곳과 장애인 단체, 지역아동센터 어린이·교사 등을 대상으로 텃밭을 시범운영 중이다. 참여자들은 그룹별 친환경농업 교육, 단체 텃밭활동, 전통놀이 체험, 김장 담그기 등 다양한 행사를 체험했으며, 김장을 통해 만든 각종 김치는 먹거리가 필요한 사회적 배려계층 주민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진흥원은 올해 시범운영 후 내년 봄부터 참여자와 행사 기간 등을 확대해 본격적으로 희망텃밭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유통센터 공간 변화도 진행 중이다. 진흥원은 물류기사 휴게실, 직원·유통센터 이용자를 위한 2층 공유휴게실, 집단급식소, 3층 전망대 등 유통센터 공유공간 4곳 활용 방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 중이며, 그 결과에 따라 연내 공간 재정비를 완료할 계획이다.

물류작업 특성상 야간에 대기시간이 긴 물류기사들을 위해 개인별 휴식 공간이 있는 쉼터를 제공하고, 입주업체와 유통센터 방문객을 위한 공유회의실, 간이식당 등을 만들 예정이다. 지역 주민의 참여와 소통이 가능한 요리강좌 등 여러 교육 프로그램도 준비 중이다.

안대성 경기도농수산진흥원장은 이번 희망텃밭과 공간 재정비가 경기도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고, 지역 주민 누구나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참여 공간으로의 변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