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접속·무응답 신고 대폭 감소’ 올 2분기 경기도 119 신고전화 작년보다 2.4%↓
○ 올해 2분기 도내 119신고 60만8,173건, 13초마다 1건씩 신고 접수
- 화재‧구조‧구급 등 현장출동 관련 신고 15.4% 증가…화재신고 38.7% 늘어 가장 큰 증가 폭
- 안내 및 타 기관 이첩 등 비출동 신고는 12.7% 감소…오접속‧무응답 20.5% 감소해 전체 119신고 건수 끌어내리는 데 주요한 역할
서정혜 2022-07-13 19:01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올해 2분기 경기도소방에 걸려온 119신고 전화가 잘못 걸었거나 전화를 걸고도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오접속·무응답 신고가 20%가량 대폭 줄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했다.

 

7cc79f5fa5a38b648788b791169cca6f_1657706477_9036.JPG
경기도소방_재난종합지휘센터+사진

 

13일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 접수된 경기도 119신고는 총 608,17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23,162)보다 2.4%(14,989) 감소했다. 이는 하루 평균 6,683이 접수된 것으로, 13초마다 1씩 신고가 접수된 셈이다.

신고 유형별로는 화재, 구조, 구급 등 현장출동 관련 신고가 262,571건으로 전체의 43.2%, 안내 및 타기관 이첩 등 비출동 신고가 345,602건으로 56.8%를 차지했다.

현장출동 신고는 지난해 동기(227,449)보다 15.4%(35,122) 증가한 반면 비출동 신고는 지난해 동기(395,713)보다 12.7%(5111) 감소했다.

현장출동 신고 가운데 화재 신고가 지난해 2분기 24,439건에서 올해 2분기 33,894건으로 38.7%(9,455) 늘어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구조 신고는 지난해 2분기 37,607건에서 올해 2분기 39,884건으로 6.1%(2,277) 증가했으며, 구급 신고는 지난해 2분기 1619건에서 올해 2분기 182,652건으로 14.1%(22,633) 증가했다.

비출동 신고 가운데 오접속과 무응답이 지난해 2분기 176,495건에서 올해 2분기 14290건으로 20.5%(36,205) 감소해 전체 119신고 건수를 끌어내리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 접수자가 상황을 여러 차례 물어봐도 아무 대답이 없는 무응답과 잘못 걸렸다고 확인되는 오접속은 미성년 자녀의 실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소방본부는 설명했다.

안내와 타기관 이첩도 지난해 2분기 17307건에서 올해 2분기 17177건으로 0.1%(130) 감소했다.

시간대별 신고 접수 현황을 보면 낮 12시부터 오후 2시까지의 신고가 107,706건으로 전체의 17.7%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반면 새벽 3시부터 5시까지의 신고는 28,237건으로 4.6%를 차지해 가장 적었다.

지역별로는 수원시가 37,957건으로 가장 많았고, 고양시 35,721, 용인32,369, 성남시 31,016, 화성시 3718건 순으로 인구수와 신고 건수가 비례했다.

서삼기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재난종합지휘센터장은 “119 신고접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민 안전을 위해 재난 관제탑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