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소방 “대형화재 발생은 온도와 습도 등 날씨와 무관”
○ 지난 2018~2022년 최근 5년간 경기지역 대형화재(대응 1단계 이상) 280건
- 평년 기온인 11~20℃, 41~60% 습도 구간에서 최다 화재 기록
김완규 2023-05-08 08:53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대형화재 발생은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온도와 습도 등 날씨와 무관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f19499a09121fd12db32b7844f882de_1683503588_3536.JPG
경기도소방재난본부+전경

8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재난정보분석팀에 따르면 지난 2018~2022년 최근 5년간 발생한 경기지역 대형화재(대응 123단계)280(사망 69부상 351)으로 집계됐다. 대응 1단계가 242(사망 16부상 229)으로 가장 많고, 대응 2단계 34(사망 53부상 122), 대응 3단계 4(사망부상 없음) 등이다. 1단계는 4개 이하 소방서가 합동 대응하며, 2단계는 5~9개 소방서, 3단계는 10개 이상 소방서가 함께 진화작업을 벌이게 된다.

시설별로는 공장시설이 136(48.6%)으로 절반에 달했고, 창고시설 43(15.4%), 공동주택 13(4.6%) 순이다.

계절별로 보면 겨울철(12~2)84(30%)으로 가장 많았고, 봄철(3~5) 73(26.1%), 여름철(6~8) 66(23.6%), 가을철(9~11) 57(20.4%) 등으로 나타났다.

날씨별로 보면 맑음216(77.1%)으로 가장 많았고, ‘흐림’ 38(13.6%), ‘’ 23(8.2%) 순이었다. 그러나 대응 3단계 총 4건 중에는 흐림’ 3, ‘’ 1건으로 파악됐다.

온도별로 보면 11~20일때 76(27.1%) 발생해 평년 기온일 때 대형화재가 가장 빈번했고, 0~1064(22.9%), 영하21~30각각 62(22.1%) 순이었다. 31이상은 16(5.7%)에 불과했다.

습도별로는 41~60% 습도에서 81(28.9%), 61~80% 습도에서 70(25%), 81~100% 습도에서 61(21.8%) 순이었다. 21~40% 습도에서는 52(18.5%), 0~20% 습도에서는 16(5.7%)을 기록했다.

이는 기온이 낮은 겨울이나 건조한 날씨에 화재가 많이 발생한다는 일반적인 생각하고는 다른 통계다. 온도별로는 11~20로 평년 기온일 때, 습도 역시 41~60% 습도인 비교적 낮지 않은 습도일 때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조선호 경기소방재난본부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대형화재와 기상 상황 간 상관관계를 보면 상식과 다르게 건물 대형화재 발생은 온도, 습도 등 날씨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분석 결과를 소방관서 안전교육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며, 앞으로도 유익하고 흥미로운 과제를 분석해 도민 안전에 적용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소방재난본부는 데이터 기반 소방 행정 추진을 위해 올 1월 재난정보분석팀을 신설했다. 앞으로 경기도 지하철 환승역 신고접수 및 출동 현황 분석, 풍수해 사고다발지역 분석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