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보환연, 유통 디카페인 음료류 카페인 함량조사. 일반음료 대비 10% 이하
○ 도내 유통 중인 디카페인 음료류 113건을 대상으로 카페인 함량 조사 실시
- 디 카페인이라도 미량의 카페인이 남아있을 수 있어 제품 선택 시 주의
서정혜 2023-07-30 08:25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유통된 디카페인 음료류 113건에 대해 카페인 함량을 조사한 결과, 일반 음료류에 비해 10% 이하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7f766573153743ec11cfb4ca834e5961_1690673154_4859.jpg
경기도청+전경(1)(64)

 

연구원은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도내 카페에서 판매되는 디카페인 커피음료와 유통판매점 및 온라인마켓에서 유통되고 있는 디카페인 제품을 수거해 카페인 함량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카페에서 판매하는 제품별 평균 함량은 제조 음료(커피) 18.59 mg/L 볶은 원두 및 캡슐커피류 0.44 mg/g 인스턴트커피 1.48 mg/g 조제커피(커피믹스) 0.11 mg/g 액상 커피 19.19 mg/L 침출차(녹차 및 홍차 티백) 0.94 mg/g 등이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표한 디카페인표시가 없는 제조 음료 329.8 mg/L, 볶은 커피 13.07 mg/g 등 일반 음료의 평균 카페인 함량에 비해 10% 이하 수준이다.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라 국내에서는 다류와 커피에 대해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제거한 제품은 디카페인(탈카페인) 표시할 수 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국내 카페인 표시사항은 1mL 0.15 mg 상의 고카페인을 함유한 액체 식품에 대해서만 고카페인 함유및 총 카페인 함량을 표시해야 한다라면서 디카페인(탈카페인) 표시 제품은 카페인을 90% 이상 제거한 것으로, 미량의 카페인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의 경우 제품 선택 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