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시, 벼‘혹명나방’피해 줄이기 위한 방제 철저 당부
김완규 2023-08-28 10:2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이천시농업기술센터는 최근 발생하고 있는 벼 혹명나방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신속한 방제를 당부했다.

 48f4e82588c3f262be8ea085f7f460ab_1693186101_8129.jpg

혹명나방 피해 사진 (1)

혹명나방은 장마철 중국으로부터 기압골을 타고 넘어오는데 특히 올해 중국에서 멸구(전년 대비 47.8% 증가) 및 혹명나방 발생량이 증가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혹명나방은 벼의 잎을 돌돌 감싸 가해하여 피해 잎은 표피만 남고 백색으로 변한다. 이는 쌀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쳐 쌀 생산량과 미질이 낮아지는 원인이 된다.

 48f4e82588c3f262be8ea085f7f460ab_1693186128_6892.jpg

혹명나방 피해 사진 (2)

혹명나방의 성충은 7~92~3세대를 거치며 온도가 높고 비가 적을 때 많이 발생한다. 성충 한 마리는 80~100개의 알을 낳으며 유충은 20일 만에 6~7개의 벼 잎에 피해를 줘 짧은 시간에 큰 피해를 유발한다.

 

벼 잎이 세로로 말리는 유충 피해 증상이 보이면 적용약제를 살포하며, 발생이 많을 때는 7~10일 간격으로 2~3회 중점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최근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면서 병해충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증상이 보인다면 즉시 개별방제를 시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문의 기술보급과 식량작물팀 이정우 지도사 / 031-644-4143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