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기원, 경기북부지역에 적합한 쌀귀리-콩 이모작 재배법 개발. 홍보 나서
○ 봄철 쌀귀리 재배 후 콩 재배로 경기지역 농업 생산성과 소득 증대
- 이모작 적합품종: 쌀귀리 ‘조양’, 장류콩 ‘만풍’, ‘선유2호’ 등
- 재배방법: 쌀귀리 파종(3월 상순) 후 수확(6월 하순) → 콩 파종(6월 하순) 후 수확 (10월 하순)
김완규 2024-02-22 15:11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가 경기북부지역에 적합한 쌀귀리와 장류콩을 이용한 이모작 재배법을 개발하고 적합한 품종과 파종 시기 등에 대한 농가 홍보에 나섰다.

 

1dd6914bfd1e8f6356458348d87931a2_1708582296_707.jpg
경기도청+전경(1)(49).jpg

 

쌀귀리는 단백질, 지질, 식이섬유, 불포화지방산 등이 풍부하며, 기능성 성분인 베타카로틴과 치매 예방물질인 아베난쓰라마이드가 함유돼 있어 건강기능식품 원료곡으로 최근 재배면적과 소비량이 늘고 있는 작목이다. 그러나 쌀귀리만 단일 경작할 경우에 경제성이 낮아 경기지역에서는 재배면적이 크게 확대되지는 않고 있다. 또한 쌀귀리는 추위에 약해 경기북부지역에서 가을에 파종하면 월동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소득자원연구소는 쌀귀리를 3월 상순에 파종해 625일경 수확한 후, 그 밭에 콩을 630일 파종하고 10월 하순 수확하는 이모작 작부체계를 개발했다.

이모작용 쌀귀리는 조양품종이 적합하며, 장류콩으로는 만풍선유2 적합했다. 쌀귀리 조양은 숙기(熟期, 성숙해 가는 기간)가 빠르고 수확이 많으며 단백질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장류콩으로 선발된 만풍콩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품종으로 숙기가 대원콩보다 10일 정도 빨라서 이모작에 적합하며 단백질 함량이 높아 두부 수율 우수한 품종이며, ‘선유2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품종으로 숙기가 105일로 빠르며 수량성(단위 면적당 생산 가능한 곡식 양)이 높은 특성이 있다.

쌀귀리의 경우 겨울 동안 얼어붙은 땅이 녹는 3월 상순까지는 파종을 마쳐야 콩 파종기를 맞출 수 있으며, 경기남부지역은 북부지역에 비해 파종을 더 빨리해야 조기 수확할 수 있다.

쌀귀리 파종은 줄 간격 25cm, 넓이는 5cm로 줄뿌림하며, 파종 직후와 등 숙기(곡식이 익는 시기)에는 조류로 인한 피해를 조심해야 한다. 병해충 피해는 비교적 적은 편이나 수확기에는 쓰러짐에 약하므로 비가 오기 전에 수확해야 한다.

현재 연천군에서는 5개 농가에서 쌀귀리를 이용한 이모작 재배를 하고 있는데, 생산된 쌀귀리는 가공업체에서 전량 수매해 농가소득 증대가 기대된다. , 연천군에서는 올해 고품질 쌀귀리 생산을 위한 단지를 40ha 조성해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원료의 안정적인 수급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김진영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장은 경기북부지역 농가의 소득 증대를 위해 쌀귀리, 콩 이모작 재배 기술을 확립하겠다면서 올해는 연천군 등 북부지역의 겨울 온도가 높아 땅이 녹는 시기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쌀귀리 씨뿌리기를 서둘러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