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교통서비스 이용 활성화 연구회’ 발족식 및 세미나 개최
○ 회장 김동영 의원, “보편적 이동 복지 실현을 위한 교통서비스 활성화 방안 모색할 것”
○ “활동 결과를 조례 제·개정, 행감·예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회원 의원님들과 연구하겠다”
김완규 2024-09-24 12:2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김동영 의원(더불어민주당, 남양주 오남)23일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도 교통서비스 이용 활성화 연구회발족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7c31e8951d11cc19cdb1c4453e72c588_1727148325_9132.jpg
240924 경기도 교통서비스 이용 활성화 연구회’ 발족식 및 세미나 개최 (1)

 

김동영 의원은 모빌리티 전환 시대를 맞아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원하는 만큼의 이동서비스를 공평하게 누릴 수 있는 보편적 이동 복지 실현을 위해 지속가능한 교통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의원님들을 모시고 의원연구단체를 꾸리게 되었다고 말했다.

 

7c31e8951d11cc19cdb1c4453e72c588_1727148394_0404.jpg
240924 경기도 교통서비스 이용 활성화 연구회’ 발족식 및 세미나 개최 (2)

 

그러면서, “의원연구단체의 공식적인 첫발을 내딛는 이 자리에 참석해 주셔서 감사하다, “발족식을 기념해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여객자동차터미널에 대한 개선을 주제로 세미나를 이어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세미나에서는 교통국 이우정 버스관리과장이 경기도 여객자동차터미널의 현황과 개선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우정 버스관리과장은 도 내 20개 시군에 공영 7개소, 민영 20개소의 총 27개 터미널이 있다면서, “코로나19로 승객이 대폭 감소하였고 2021년 이후 증가하고 있지만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더딘 회복 속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외버스 수요는 광역버스, 철도 등 타 교통수단 확대에 따른 수요감소 문제와 발권 온라인화, ·종점 정류소 분산 등으로 터미널 기능이 약화되는 추세에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러한 터미널의 어려움은 터미널 폐업, 노선 축소 등 고스란히 도민 불편으로 이어진다. 도민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도에서는 20209월 버스 인프라 조성 및 시설개선 계획, 20222월 터미널 운영비 지원 추진계획을 수립해 2021년과 2022년에 시설개선비 108천만 원, 202249700만 원의 운영비를 지원한 바 있다고 밝혔다.

김영민 의원은 철도, 광역버스 등 광역교통을 담당하는 교통수단이 발달하고 있지만 이러한 광역교통 서비스 부재 지역은 여전히 시외버스 이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동영 의원을 비롯한 의원연구단체 회원 의원들은 고령자 등은 철도 등의 교통수단보다는 수평이용이 가능한 시외버스 서비스를 더 원할 것이라면서, 고령운전자에 대한 대체수단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는 지금이 터미널 운영 개선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공감했다.

이날 경기도 교통서비스 이용 활성화 연구회의 발족식 및 세미나에는 회장인 김동영 의원을 비롯해 김영민 의원(국민의힘, 용인2), 김동희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6), 김창식 의원(더불어민주당, 남양주5), 이기형 의원(더불어민주당, 김포4), 박세원 의원(개혁신당, 화성3)과 경기도 교통국 이우정 버스관리과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 명지대학교 전진숙 연구교수 등 학계 전문가가 참석했다.

김동영 의원은 활동의 결과를 조례 제·개정, 행정사무감사 질의, 예산 심의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회원 의원님들과 함께 열심히 연구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히며 자리를 마무리했다.

한편, ‘경기도 교통서비스 이용 활성화 연구회는 김동영 의원을 회장으로 하고, 김영민·김판수·양운석·성기황·김창식·김종배·이기형·김동희·박세원 의원을 회원으로 하며, 도 내 교통서비스 운영 현황 및 계획을 검토하고, 우수 사례 현장 방문 또는 조사, 전문가 간담회 및 토론회를 통해 경기도 교통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연구활동을 할 예정이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