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름철 앞두고 1,073개 물놀이형 수경시설 집중 점검 ○ 30개 시군에 위치한 1,073개소 물놀이형 수경시설 집중점검 - 신규 신고시설 7개, 이용자가 많은 시설 9개 등 취약시설 27개는 합동점검 - 경기도수자원본부, 여름철 맞아 수질기준 및 관리기준 준수여부 점검 및 관리 강화 서정혜 2025-06-29 08:09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가 본격적인 물놀이가 시작되는 여름철을 앞두고 바닥분수, 조합놀이대 등 물놀이형 수경시설에 대하여 오는 7월 2일부터 8월 5일까지 집중 점검을 한다. (별첨1)+물놀이형+수경시설+지도점검 물놀이형 수경시설은 수돗물, 지하수 등을 이용하는 분수, 연못, 폭포, 실개천 등의 인공시설물 가운데 일반인에게 개방돼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해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시설이다. 5월 기준 경기도에는 30개 시군에 물놀이형 수경시설 1,073개소가 등록돼 있다. 아파트 조합놀이대 물놀이장, 공원 바닥분수도 포함 대상이며, ‘체육시설법’, ‘관광진흥법’에 따라 수영장이나 유원시설은 제외된다. (별첨2)+물놀이형+수경시설+지도점검 도는 전체 1,073개 가운데 신규 신고시설(7개) 및 이용자가 많은 시설(9개) 등 취약시설 27개는 도, 시군 합동점검을 할 계획이다. 수질기준 및 관리기준 준수여부, 시설명칭 및 대표자 등 변경사항 미신고 여부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합동점검 대상 외에는 시군에서 자체 점검도 추진한다. (별첨3)+물놀이형+수경시설+지도점검 수질 검사항목은 ▲수소이온농도 ▲탁도 ▲대장균 ▲유리잔류염소 4가지이며, 수질기준을 초과한 수경시설은 즉시 개방중지 및 초과사실 통보, 소독 또는 청소·용수교체 등 조치 후, 재검사 결과 수질기준 충족하면 시·군에 통보 후 시설 재개방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이에 따른 수질검사 결과 및 시설 재개방, 운영여부는 경기도물정보시스템(https://water.gg.go.kr)에 게시된다.윤덕희 수자원본부장은 “민간이 공동주택 및 대규모점포에 설치·운영하는 물놀이형 수경시설로 관리대상이 확대된 이후, 신규 신고시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며, “7월 2일부터 시작하는 수경시설 관리실태 집중점검을 통해 도민과 아이들이 안심하고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한편, 도는 지난 11~12일 시군과 공공기관의 물놀이형 수경시설 관리자를 대상으로 운영 및 점검 방법 등에 대한 사전 교육을 실시했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 8월 27~29일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산업전 개최’…패키징 기술 총집결 25.06.29 다음글 “밟으면 먼지 흡입해 미세먼지 줄인다” 경기도, 김포 고촌역·운양역에서 지하역사 흡입매트 설치 시범사업 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