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수지중앙터널’에서 지역의 독창적 문화가 깃든 ‘제3회 수지터널 페스티벌’ 열려
- 수지구 신봉동과 성복동 잇는 930m 터널에서 열리는 특별한 행사 -
- 지역주민과 예술인이 중심이된 문화축제…소상공인 참여하는 벼룩시장도 함께 열려 -
- 이상일 시장 "'수지중앙터널이 시민들에게 특별함을 주는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아…축제가 앞으로 더 다채롭게 진행되도록 도울 것” -
오예자 2025-07-21 13:54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19일 오후 수지구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뤄진 문화행사 ‘제3회 수지터널 페스티벌’에 참석해 축하와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고 공연 프로그램을 지켜봤다. 

0aac1bf7f1ea0d79ce762d4fda6c5953_1753073600_8707.jpg
19일 수지중앙터널에서 열린 '제3회 수지터널 페스티벌'에서 이상일 시장이 무대 위에 오른 학생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0aac1bf7f1ea0d79ce762d4fda6c5953_1753073600_9279.jpg
 19일 수지중앙터널에서 열린 '제3회 수지터널 페스티벌'에서 이상일 시장이 시민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0aac1bf7f1ea0d79ce762d4fda6c5953_1753073600_9778.jpg
 19일 수지중앙터널에서 '제3회 수지터널 페스티벌'이 열렸다. 

 

'골든보이스 솔리스트 앙상블’이 주최·주관한 장소인 ‘수지중앙터널’은 지역주민에게 특별함을 주는 곳이다. 

 

‘수지중앙터널’은 착공 후 15년만인 지난 2023년 10월 전면 개통됐다. 수지구 성복동과 신봉동을 연결하는 이 터널의 길이는 터널 499m와 방음터널 160m를 포함해 총 930m, 폭은 20m다. 

 

이 터널이 개통됨에 따라 수지구 성복동과 신봉동을 직선으로 잇는 도로가 없어 먼 길을 돌아가야 했던 교통의 불편은 대폭 개선됐다. 

 

‘수지중앙터널’은 차량이 지나는 도로와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행터널 등 2개의 터널로 이뤄졌다. ‘수지터널 페스티벌’이 열린 곳은 보행터널이다. 

 

‘수지중앙터널’ 개통과 함께 시작한 ‘수지터널 페스티벌’은 지역주민의 사랑과 관심을 받으면서 올해 3회째를 맞이했다. 지난해 열린 ‘제2회 수지로드 페스티벌’은 약 2만여명의 방문객이 행사에 참여하면서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문화행사로 자리잡았다. 

 

이상일 시장은 19일 개회식 축사에서 “수지구 신봉동과 성복동을 잇는 이 터널이 지난 2023년 10월 개통된 후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고 함께 즐기는 문화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공간으로도 활용됨에 따라 시민들에게 특별함을 주는 장소로 자리잡았다”며 “지역의 대표 문화행사로 자리잡은 ‘제3회 수지터널 페스티벌’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인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이곳에서 문화예술 공연이 진행됨과 동시에 소상공인이 많이 참여하는 벼룩시장도 열리고 있는 만큼 시민들이 다양한 재미를 느끼실 수 있을 걸로 생각한다”며 “이곳 페스티벌이 앞으로 더욱 다채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응원하고 돕겠다”고 했다. 

 

‘제3회 수지터널 페스티벌’은 여러 체험프로그램, 다양한 물품과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장터, 그리고 문화 공연을 20일까지 진행한다. 

 

용인교육지원청은 공유학교 뉴스콘텐츠 생성체험과 ‘예술메이커 멜로디제작소'(우리가 만드는 창작동요)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했고, 용인서부소방서는 심폐소생술을 비롯해 긴급한 상황에서 시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또, 터널 벽면에는 지역의 어린이집 원아들이 직접 그린 그림들이 전시돼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다. 

 

‘제3회 수지터널 페스티벌’은 문화를 중심으로 소통하는 지역주민이 직접 무대에 오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행사는 ▲수지농협풍물(전통농악놀이) ▲낭만스케치(남성어쿠스틱밴드) ▲하모니 오브 엔젤스(어린이합창단) ▲바스타즈 치어리딩 ▲비치노아떼(용인청년예술단체) ▲트라움(현악앙상블) 등 전문 예술인과 시민이 직접 만든 화려한 공연이 이어졌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