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탄강 청년어부와 참게 들어올린 김동연 오예자 2025-10-14 16:41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김동연 경기도지사에게 어촌은 특별합니다. 김 지사는 2019년 경제부총리에서 물러난 뒤 전국 바닷가의 어촌계를 다니며 직접 그물을 던져 전어‧낙지‧멸치를 잡았습니다.그런 김동연 지사가 이번에는 달달투어 도중 ‘한탄강 청년어부’를 만났습니다. 바다에서 하는 어업 외에 내수면어업(육지의 하천, 호수 같은 담수에서 이뤄지는 어업)을 지원하겠다는 메시지였습니다. ‘한탄강 청년어부’는 구독자 17만 명을 자랑하는 유튜브 채널 이름이자 운영자인 1988년생 김은범씨의 닉네임이기도 합니다.오늘 김 지사는 임진강(*임진강은 한탄강과 같은 줄기*) 수위 점검을 한 뒤 조업을 마치고 돌아온 한탄강 청년어부의 고깃배 ‘왕건1호’에 성큼 올라섰습니다. 청년어부가 활어통 뚜껑을 열어 갓 잡아온 물고기를 뜰채로 들어올려 김 지사에게 보여줬습니다. “와!”김 지사의 입에서 탄성이 나왔습니다. 만선까지는 아니어도 활어통에는 물고기가 가득 담겨 있었습니다.“그야말로 자연산이네요.”김 지사의 탄성이 이어졌습니다.김 지사가 “이건 모래무지고, 저 큰 건 뭐지요?”라고 묻자 ‘메기’라는 답이 나왔습니다. 쏘가리, 장어, 빠가사리 등도 보였습니다. 청년어부 김은범씨가 또 한 개의 활어통을 열자 참게가 그득했습니다.“멋지네요.”, “많이 잡았네요.” (김 지사)김 지사는 청년어부와 함께 어획한 참게를 자동차로 옮겨 실었습니다. 직접 참게를 손으로 들어올리면서 “무나요?”라고 묻기도 했습니다. 청년어부 김은범 씨는 한탄강(또는 임진강)에서 직접 잡은 물고기로 밀키트를 제작해 온라인 판매하고 있습니다. 전국에서 민물고기로 밀키트를 만든 것은 그가 처음이라고 합니다. 한탄강 어획물로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만들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니 ‘한탄강 청년어부’는 단순한 유튜브 채널이 아니라 하나의 ‘새로운 어업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김은범씨는 2017년 내수면 어업을 시작했으며 2024년 수산업경영인 어업인 후계자로 선정됐습니다. 그가 제작한 유튜브 영상 가운데 황복잡이 영상은 85만 조회수를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도는 한탄강 청년어부 같은 어업인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중입니다.1)매년 2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뱀장어, 쏘가리 등 11종을 강하천에 방류하고 있습니다.2)인공산란장 44곳을 관리중입니다. 3)내수면 어선의 노후 엔진 교체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4)귀어 희망인들의 귀촌과 정착을 지원합니다.- 귀촌 지원=귀어학교 운영, 귀어귀촌컨설팅(창업어가 멘토링, 어촌정착상담사 등) - 정착 지원=수산업경영인 육성 자금, 귀어 창업 및 주택구입 등 대출 지원(이율 1.5%), 청년어촌정착지원(월 최대 110만 원 지급), 귀어인의 집(주거 지원) 등이외에도 전국 최초로 어업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고 보상하는 ‘농어민 기회소득’을 지급하고 있습니다.오늘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 제철(산란기인 4~6월)이 아닌 탓에 ‘임진강 황복’은 구경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한때 소멸 위기에 처한 황복을 지키기 위해 경기도는 2003년부터 23년째 치어를 방류하고 있습니다. 이런 지속적인 정책에 어민의 노력이 어우러져 황복은 여전히 임진강의 명물입니다.김동연 지사와 경기도는 되살아난 ‘임진강 황복’처럼, 어촌 회복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어민들의 만선(滿船)을 경기도가 든든하게 뒷받침해나가겠다는 것이 김동연 지사가 ‘한탄강 청년어부’를 만난 이유입니다. 오예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연천군, 세계 구석기 엑스포 공동 개최 추진 김동연, “연천은 지붕없는 박물관, 관광의 요람으로” 25.10.14 다음글 연천서 여덟 번째 민생투어 나선 김동연, “경기도소방학교 북부캠퍼스, 재난대응 패러다임 바꾸는 계기될 것” 25.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