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보건환경연구원, 3월부터 서해 연안지역 비브리오패혈증균 조사
○ 최근 3년간(2019∼2021)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는 8~10월에 주로 발생(81.4%)
○ 보건환경연구원 3월부터 10월까지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시사업 추진
- 김포, 시흥, 안산, 화성, 평택 등 5개 지역 해수 및 갯벌 등 채취 검사
- 지난해 4월말에 첫 검출되어 9월말까지 4개 지역에서 발견
서정혜 2022-03-03 06:5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최근 3년간 경기도 내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10명 중 8명은 8~10월에 집중 발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사전 예방을 위해 3월부터 감시사업을 시작한다.

 

1d07c810b833b4ec0489347363c4538a_1646258195_9615.jpg
비브리오패혈증균+검사를+위해+바닷물을+채수하는+사진

 

3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도내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는 20199, 202010, 20218명 등 총 27명으로 집계됐다. 월별로 보면 910, 8월과 10월 각 6명 등 8~10월까지 22명으로 전체 81.4%를 차지하고 있다. 이밖에 1, 4, 5, 6, 11월에 각 1명이 확인됐다.

이에 도는 환자 집중 발생 시기 이전인 3월부터 10월 말까지 비브리오패혈증 사전 예방을 위해 김포, 시흥, 안산, 화성, 평택 등 경기 서해연안 5개 지역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시 사업을 실시한다. 해수, 갯벌에서 시료를 채취해 검사 후 비브리오패혈증균(Vibrio vulnificus)을 확인하면 해당 시군에 통보해 감염예방 조치하도록 한다.

연구원은 지난해 3월부터 김포 등 5개 지역에서 240건의 시료를 채취·검사했고, 4월 말에 첫 비브리오패혈증균을 검출해 해당 관계기관에 검사 결과를 통보해 도민 주의를 당부한 바 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제3급 감염병으로 해수 및 갯벌 등 연안 해양환경에서 주로 수온이 상승하는 시기에 잘 발견된다. 오염된 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덜 익혀서 먹을 경우, 상처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될 수 있다. 감염 시 발열, 혈압 저하,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대부분 증상 발현 후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발생한다.

박용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은 만성간질환자, 알콜중독,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어패류는 85이상으로 익혀먹고 피부 상처가 있을 경우 바닷물과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