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보환연, 곡류와 가공식품 무기비소 안전성 검사 ‘모두 안전’
○ 도내 유통되는 곡류 및 곡류 가공식품 153건 무기비소 안전성 검사 실시
- 기준 설정된 품목 모두 허용기준치 이내 ‘안전’
○ 무기비소 노출 저감을 위해 잡곡 섭취, 쌀의 세척 횟수 증가와 오랜 침지 권장
오예자 2022-03-27 06:26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유통 중인 곡류 및 곡류 가공식품 153건에 대해 중금속 일종인 무기비소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75bad71d5400297528062b072a6f553c_1648329945_945.jpg
사진자료

 

연구원은 지난해 3월부터 10월까지 도내 대형 유통마트, 백화점, 온라인 매장에서 수거한 백미, 현미 등 곡류 87건과 쌀을 사용한 과자, 시리얼 등 가공식품 66건을 대상으로 무기비소의 오염정도를 검사했다.

토양 등 자연환경에 존재하는 중금속인 비소는 유기와 무기비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이 중 무기비소는 독성이 큰 1급 발암물질로 알려졌다. 2012년에는 미국 쌀의 비소 검출로 국내에서도 잠정 수입 중단 조치가 내려진 바 있다.

연구원에서 진행한 검사 결과 거의 모든 품목에서 무기비소가 검출됐지만, 허용기준(백미 0.2 mg/kg 이하)을 초과하지 않았다.

항목별로 보면 곡류의 평균 무기비소 농도는 백미 0.08 mg/kg, 현미 0.14 mg/kg, 쌀눈 0.16 mg/kg, 흑미 0.12 mg/kg이다. 보리, 귀리, 율무, 수수, 기장은 최대 0.03 mg/kg 수준으로 매우 낮은 수치였다. 이는 논에서 담수 재배되는 벼 특성 때문으로, 특히 쌀의 배유(백미)에서 외피로 갈수록 비소 축적이 높아 현미, 쌀눈의 무기비소 농도가 더 높다.

쌀이 주 원재료인 아기과자, 이유식 쌀가루, 쌀국수면, 시리얼, 침출차 등 가공식품의 검사 결과에서도 설정된 기준(0.1 mg/kg 이하 등)을 초과하지 않았다. 그러나 백미 가공 제품보다 현미와 쌀눈을 가공한 제품이면서 그 함(%)이 많을수록 무기비소 검출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돼 쌀 가공식품 선택 시 원재료를 고려해 섭취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용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원장은 주식인 쌀과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잡곡 섭취가 늘어난 만큼 곡류와 가공식품에 대한 무기비소 안전성 검사를 실시했다모니터링 결과 안전한 수치지만 섭취 빈도가 높고 체중이 적은 영유아는 위해도가 상승하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가정에서도 쉽게 무기비소 섭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쌀을 여러 번 세척하고, 물에 오래 불릴 것을 제안했다. 백미는 세척 후 물에 3시간 불릴 때 약 40%, 현미는 24시간 불린 후 약 20% 무기비소가 감소됐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연구원은 또 쌀을 불린 물에 비소가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버린 후 새 물을 받아 밥을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참고자료>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