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 매미충류 지난해보다 발생량 증가할 것으로. 적기 방제 당부.
○ 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 등 월동알 생존율 지난해 평균보다 최대 5% 이상 높아
○ 첫 부화 시점도 지난해보다 1~2일 빨라질 것으로 예상
- 부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전체 부화 시점 고려해 5월 하순 경 방제 활동 권고
서정혜 2022-03-29 07:16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기온이 상승해 외래 매미충류 발생량 증가와 발생지역 확산이 우려된다며 철저한 예찰과 제때 방제를 당부했다.

 

ea8e313389472d5b9481ca1277bb3d8b_1648505715_2626.jpg
꽃매미+성종

 

농기원은 지난달 안성, 평택, 화성, 포천, 파주, 가평 6개 시·군에서 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등 외래 해충 월동알 발생 현황을 조사했다.

 

ea8e313389472d5b9481ca1277bb3d8b_1648505793_5527.jpg
월동을+마치고+부화중인+꽃매미+알

 

그 결과 꽃매미 월동알 생존율은 북부 평균 72.9%, 남부 평균 84.9%지난(북부 평균 64.9%, 남부 평균 82.8%)보다 2.1~8% 증가했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월동알 생존율도 북부 평균 76.7%, 남부 평균 88.4%로 지난해(북부 평균 75.9%, 남부 평균 82.9%) 대비 0.8~5.5% 증가했다.

지난해 12~올해 1월까지 도 평균기온은 2.81년 전 같은 기간보다 0.3높았다. 강수량 또한 7.9mm1년 전 같은 기간보다 약 44% 감소해 해충 발생에 유리한 조건이 만들어진 게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올해 외래 매미충류의 첫 부화 예측일은 지난해보다 1~2일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외래 매미충 월동알은 모두 부화하는 데 약 20일이 걸리기 때문에 90% 이상 부화하는 5월 하순까지 기다렸다가 한 번에 방제해야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김석철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군 농업기술센터 및 농협, 산림, 공원녹지 관련 부서와의 공동 협업 방제를 통해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고, 아울러 PLS(농약사용기준강화제도)에 대비한 친환경 방제기술 보급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