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동력 수소산업으로 경기북부지역을 발전시키자
○ 경기연구원, <경기북부지역 수소산업 육성 방안> 발간
○ 친환경 신성장동력 수소산업을 통해 경기북부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수도권 탄소중립도 달성해 가는 정책 적극 추진
○ 경기북부지역 관내 시·군 거점별로 수소생태계 구축 또는 특정지역에 수소특화단지 개념의 수소테크노밸리(HTV) 조성 제안
서정혜 2022-12-08 08:20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저발전 경기북부지역을 발전시킬 신성장동력으로 수소산업을 도입해 중앙정부와 경기도가 중점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5918fe2e281ee6c0fb9d64136f060ca2_1670455130_699.jpg
경기북부+‘수소테크노밸리(HTV)’+조성+구상도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북부지역 수소산업 육성 방안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5918fe2e281ee6c0fb9d64136f060ca2_1670455171_4677.jpg
경기북부+시%UFF65군+주요+거점별+수소생태계+구축+구상도

새 정부와 민선 8기 경기도정은 수십 년간 군사, 성장관리권역, 환경 등 중첩규제로 저발전지역인 경기북부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시도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새 정부 인수위는 수도권 접경지역 규제 완화 공약으로 접경지역 규제개혁, 수자원 보호구역 규제개혁, 수도권 접경부성장촉진역 신설 추진을 제시한 바 있다

5918fe2e281ee6c0fb9d64136f060ca2_1670455209_0746.jpg
경기북부지역+수소산업+육성+필요성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과 함께 지역경제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성장잠재력이 풍부한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성장의 허브로 육성하겠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민선 8기 공약에는 경기도형 수소융합 클러스터 조성안도 포함됐다. 기도는 수소에너지 생태계구축 기본계획을 2019년 수립해 안산-평택-화성권을 중심으로 수소산업 육성을 추진 중이다. 남부의 안산, 평택은 국토부의 수소시범도시로 선정돼 구축 중이다. 경기북부지역 수소산업 육성은 경기도형 수소융합 클러스터 조성 공약 이행 낙후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균형발전 도모 안산-평택-화성권 경기남부 수소경제벨트와 경기북부 수소산업 양대 축 개발 수려한 자연환경자원과 친환경 수소산업 연계 접목으로 친환경 녹색산업지역 선도 수도권탄소중립 달성 기여 수소에너지 시장 확대로 수소산업 발전 기회 활용 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경기북부지역의 수소산업 육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선 경기북부 관내 시군 주요 거점별(양주-의정부-동두천권/파주권/연천-포천권) 개발 내지 조성 중인 산업단지나 미활용군용지, 반환공여구역 부지에 수소생산-유통-활용 수소생태계를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그 후보지들로는 양주시 도하리 미활용군용지(41), 동두천시 동두천 국가산업단지(267), 파주시 파평 일반산업단지(593), 연천군 청산면 궁평리장탄리백의리 일대 미활용군용지(927), 포천시 에코그린 일반산업단지(309), 파주시 장단면 거곡리 일대 파주평화경제특구(구상)(330) 등을 지목했다.

이어 경기북부 관내 양주시 도하리 미활용군용지(41), 포천시 에코그린 일반산업단지(309), 파주시 파평 일반산업단지(593), 연천군 청산면 궁평리 일대 미활용군용지(927) 등의 후보지 중에서 최적지를 선정해 수소집적단지, 일명 수소테크노밸리(HTV: Hydrogen Techno Valley)를 조성하자고 밝혔.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경기남부 안산-평택-화성 수소경제벨트와 경기북부권을 수소산업 육성 양대 축으로 구축해야 한다면서 무엇보다 저발전 경기북부지역을 위한 미래 새로운 성장잠재력 발굴에 수소산업 만큼 뛰어난 부문은 없으니 경기북부지역 수소 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