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챗 GPT 도입방안 토론서 “일단 써보자. 작은 것부터 활용방안 찾아야”
○ 김동연 지사, 23일 도정 열린회의 열고 챗 GPT 활용방안 논의
- “머리로 하는 것보다 몸으로 체험해봐야 될 것 같다. 활용하면서 정책적 부작용과 보완책도 같이 검토해야” 강조
○ ‘다음 소희’ 언급.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야기. 전직원 관람 기회 마련의사도 밝혀
○ 검찰 압수수색 관련해서는 “위축되지 말고 당당하게 일하라” 직원에 당부
서정혜 2023-02-23 19:51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에 대해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작더라도 경기도정에 우선 적용하는 것이 좋겠다며 이에 대한 준비를 지시했다.

270bdaebadf6bd9ba85e192b279c10a4_1677149465_9687.jpg

김동연 지사는 23일 오전 도청 다목적회의실에서 도정 열린회의를 열고 하정우 네이버 인공지능연구소 소장의 (Chat)GPT 시대 초거대 인공지능(AI) 생태계의 현재와 미래강의에 이어 챗GPT를 주제로 자유토론을 가졌다.

김 지사는 일단 써봤으면 좋겠다. 머리로 하는 것보다 몸으로 체험해봐야 될 것 같아서 작은 것부터라도 (GPT)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봤으면 한다면서 활용하면서 기술적 양극화 문제 등 정책적 부작용과 보완책도 같이 검토해달라고 당부했다.

김 지사는 앞서 지난 9일 자신의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GPT, 지켜보고만 있진 않겠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이참에 본격적으로 경기GPT’ 구상을 시작하려 한다. 이미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도정을 공약한 바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정책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행정을 효율화할 수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토론은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 챗(Chat)GPT를 경기도정에 접목하는 방안을 두고 약 1시간여 동안 논의가 진행됐다.

김 지사는 이어 최근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민생이라며 이유는 어려운 경제상황과 앞으로 어려워질 경제상황 속에서 우리 도민들, 취약계층, 서민층, 중산층의 고통이 심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 주 관람한 영화 다음 소희를 다시 언급하며 모든 직원이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지사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얘기다. 영화보면서 우리도 그와 같은 일이 벌어지게끔 한 데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다면서 원하는 분들은 같이 볼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검찰의 경기도청 압수수색과 관련해 조금도 위축되지 말고 당당하게 일하라고 경기도 공직자들에게 당부했다.

김 지사는 간부여러분과 직원여러분께 분명하게 말씀드린다. 굴하지 말고 당당하게 자신있게 일하기 바란다. 우리가 하는 일이 떳떳하고 도민들을 위한 일이라면 겁낼 게 무엇이겠나?”면서 취임한 이래 우리 경기도는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없이 해왔다고 생각한다. 숨길 것도 없고 감출 것도 없다. 소신껏 일하고, 앞으로도 늘 강조했다시피 적극행정하며 일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