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올해 똑버스 확대, 대곡~소사선 개통 등 교통정책 강력 추진
○ 경기도, 올해 도로망 확대, 교통 기반시설 개선, 철도망 확충 등 교통 정책 강력 드라이브
- 똑버스 11개 시군서 136대 운영. 적극행정 우수사례 대상 수상
- 서해선 대곡~소사 구간 7월 개통. 2016년 착공 후 7년만
- 지방도 확충사업 75개, 299.76㎞, 5조 원 규모로 추진
김완규 2023-12-07 08:3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민선 8기 경기도는 각종 교통 정책으로 도민들의 출퇴근 시간을 1시간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올해는 수요응답형 버스 똑버스확대, 경기서북부 출퇴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서해선 대곡~소사 구간 개통, 수조 원 규모의 지방도로 확장 추진 등 큰 성과를 거둔 해였다.

 

5e20336a9af4e69800080c8a37c8630c_1701905800_8091.jpg
김동연+경기도지사

 

내년에 도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한 교통비 환급사업인 ‘The() 경기패스’, 경기도형 시내버스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등 큰 변화가 예고된 가운데 올해 주요 교통정책을 돌아본다.

 

5e20336a9af4e69800080c8a37c8630c_1701905834_7314.jpg
똑버스(2)

 

모빌리티 혁신 선도, 도민 이동의 기회를 보장하다

올해 경기도의 대표적인 교통사업은 똑버스확대다. ‘똑버스는 경기도형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의 고유 브랜드똑똑하게 이동하는 버스라는 의미다. 신도시나 교통 취약지역에서 고정된 노선과 정해진 운행 계획표 없이 승객의 호출에 대응해 탄력적으로 승객을 수송하는 맞춤형 대중교통수단이다.

 

5e20336a9af4e69800080c8a37c8630c_1701905861_3377.jpg
똑버스

 

202112월 파주에서 시범 운영 이후 올해 3월 안산을 시작으로 확대하기 시작해 11개 시군에서 136대가 운영된다. 11월 말 기준 누적 이용자가 1435천 명을 넘어섰다. 특히 김포, 양주 등 경기북부에서도 운영되며 신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똑버스는 행정안전부에서 개최한 ‘2023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지방공사·공단 부문 대상(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똑버스를 호출하는 통합교통플랫폼 똑타 앱은 앱 어워드 코리아 2023’에서 공공서비스 부문 대상 수상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이와 함께 광역버스 노선에 수송량을 늘리며 도민들의 출퇴근 시간 감소에 기여했다. 출퇴근 시간대 혼잡노선 53(207/)에 대한 전세버스 운행을 위해 566천만 원(국비와 시군비 포함)을 지원하며, 수송력과 친환경성을 두루 갖춘 ‘2층 전기버스40대 추가 도입해 총 96대를 운영하며, 심야 광역버스 9개 노선 20대를 운영 중이다.

특히 광역버스 입석 금지’, ‘김포골드라인 혼잡등 현안이 있으면 출퇴근 시간 전세버스 추가 투입, 버스전용차로 연장, 수요응답버스(DRT) 조기 투입 등 즉각적인 정책을 시행하며 도민 불편 최소화에 힘썼다.

우리 동네 철도 시대를 위한 경기도 전역 철도망 구축

민들의 출퇴근 시간 단축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철도 사업도 활발히 진행됐다. 우선 서해선 대곡~소사 구간이 2016년 착공 후 7년 만인 지난 7 1일 개통했다. 대곡소사선은 고양시 대곡~부천시 소사를 연결하는 18.3km 길이의 복선전철이다. 이로써 안산 원시역부터 고양 일산역이 환승 없이 연결돼 1시간 10분이면 통행할 수 있게 됐다.

대곡소사선은 일반철도 사업으로 분류돼 국가에서 사업비 전액을 부담해야 하지만 지자체가 사업비 10%를 부담한 유일한 사례다. 경기도에서도 총사업15767억 원 중 130억 원을 부담했다.

이어 경원선 전철 동두천~연천 구간(20.9)12월 운행을 앞두고 있다. 이 구간이 개통하면 연천에서 서울 용산까지 1시간 40분이면 갈 수 있어 교통 인프라가 부족한 경기북부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첫 번째 사업이 개통을 앞두고 있어 도민들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내년 3A노선 수서~동탄 우선 개통을 시작으로 하반기는 파주~서울역 구간이 부분 개통될 예정이며, 서울시가 추진하는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가 완료되는 2028년에는 전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다음으로 C노선(덕정~수원)이 연내 착공 예정이며, B노선도 내년 초 착공 후 2030년 개통 목표로 추진 중이다.

도는 기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BC노선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지역으로 GTX 서비스 확대를 위해 ‘GTX 플러스 기본구상 연구용역을 올해 4 착수했고, GTX 신설 및 연장에 관한 최적안을 마련해 내년 상반기에는 국토교통부가 수립하는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 건의할 예정이다.

경기북부 발전과 케이(K)-반도체산업 등을 지원하는 철도망 구축을 위해 경기도 철도기본계획과 노면전차·경전철 등 우리동내 철도시대를 위한 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