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특자도 설치 기자회견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습니다. 김완규 2024-01-03 17:55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존경하는 도민 여러분 그리고 국민 여러분,‘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총선 전 주민투표가 끝내 묵살되었습니다. 경기도가 정부에 주민투표를 요청한 것은 이미 100일 전인 지난 9월 26일입니다.필요한 모든 절차와 준비를 철저하게 마친 후였습니다. 그러나 중앙정부는 시간 끌기로 일관했습니다.준비 기간까지 고려하면 이제 총선 전 주민투표는 불가능합니다.이 모두는 정부의 ‘책임방기’이고, 더 나아가 ‘직무유기’가 아닐 수 없습니다. ‘국토균형발전’은 진보와 보수를 떠나 30년이 넘도록 역대 정부가 이어온 국가 운영의 기본방향이자 전략입니다.어쩌면 그보다 훨씬 전인 군부독재 정권에서조차 지향했던 가치이기도 합니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는 바로 그 ‘국토균형발전’의 가치에‘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을 더한 고도의 국가발전전략입니다. 그런 ‘북부특별자치도’ 설치가총선용 정치쇼에 불과한 김포시 서울 편입 논란으로 심각하게 오염됐습니다.30년 넘게 이어온 국가발전전략과 3개월짜리 총선용 당리당략입니다.비교의 대상이 아닙니다. 차원이 다른 문제입니다. 아무런 준비 없이 정략적으로 나온 서울 편입에무슨 비전이 있고 어떤 전략이 있었습니까. 야심 차게 가장 먼저 말을 꺼낸 집권여당의 전대표는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국정을 대하는 정부여당의 무책임한 태도에 탄식을 금할 수 없습니다. 엄중히 경고합니다.만에 하나라도 정부의 주민투표 요청 묵살에정치적인 의도가 있다면 반드시 국민의 준엄한 심판이 있을 것입니다. 민선8기 경기도는 1,400만 도민의 염원을 한데 모아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습니다. 35년 동안 첫걸음조차 떼지 못하고 공약으로만 되풀이되던 숙원을말이 아닌 실천으로 보여드렸습니다. 2022년 12월 ‘민관합동추진위원회’를 출범시켰고,그해 말 추진단을 만들었습니다. 지역별 비전을 수립하여 주민들을 모시고 의견을 경청했습니다. 시·군공청회 10회, 시·군토론회 9회, 숙의토론회 8회,직능단체 설명회 31회, 공직자 대상 설명회 28회 등의견을 모으는 자리만 해도 100여 회 진행했습니다. 국회에서도 여ˑ야 50여 명의 의원들께서 두 차례 토론회를 열어 힘을 보태주셨습니다.경기도의회는 여ˑ야를 넘어 두 차례 압도적 결의를 모아주셨습니다. 이에 더해 북부대개발 비전과 로드맵을 마련했고, 지금도 부지런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장 올해 도로, 철도 등 SOC 3,855억, 지역균형발전 502억 등 북부 발전에 4,854억 원을 투입합니다. 여기까지 온 것만으로도 대단한 성과입니다. 정치적 구호에 그쳤던 지난 30여 년을 생각해 볼 때 기적에 가까운 일입니다. 존경하는 도민 여러분 그리고 국민 여러분, ‘경기북부특별자치도’는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이라는 국가운영의 기본방향에 발맞추면서대한민국의 성장 잠재력을 깨우는 시대적 과제입니다. 360만이 넘는 인적자원과 잘 보존된 생태계 등 무한한 잠재력을 볼 때 경기북부가 특별자치도로서의 위상을 완성하는 건 시간문제입니다.저는 이미 ‘북부특별자치도가’ 대한민국 경제성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 자신있게 단언했습니다. 정부의 직무유기와 비협조, 집권여당의 서울확장 전선 등여전히 많은 난관이 존재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코 뒤로 되돌아가지 않겠습니다.어떤 어려움에도 흔들리지 않겠습니다. 경기도는 ‘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해 뚜벅뚜벅 나아가겠습니다.도민들과 함께 만든 견고한 성과를 바탕으로 계속해서 박차를 가하겠습니다. 첫째, ‘북부대개발’ 비전을 더 키우고 구체화하겠습니다. 교통 인프라 개선, 일자리 창출, 교육ˑ의료 등 삶의 질 향상, 생태관광 자원 개발로경기북부의 잠재력을 깨우는 ‘북부대개발’ 비전을 지난해 발표했습니다. 그 성과가 지역에 머물지 않고 대한민국 전체로 파급되도록 키우겠습니다.각 지역의 상황에 맞도록 치밀하게 다듬겠습니다. 이를 위해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 김완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북부 특자도 설치 기자회견문 24.01.03 다음글 경기도, ‘주민등록·인감(서명확인) 업무 유공’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수상 24.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