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자 감소하는 명절 앞두고 위아원 청년들 ‘해피 뉴 헌혈’ 앞장서
- 지난 3일, 헌혈 버스에서 105명 헌혈 완료
- 전국서 상반기 동안 2만5000명 헌혈 목표…헌혈 독려 캠페인도 병행
김완규 2024-02-06 14:0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위아원 청년자원봉사단(We Are One·대표 이현승)은 지난 3일 지하철 4호선 정부과천청사역 인근 공터에 마련된 헌혈 버스에서 헌혈 자원봉사를 통해 생명을 살리는 순간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7ccf664193db2bf321bcf9fbac2a0bfa_1707195594_8534.jpg

1. 위아원_청년자원봉사단_회원이_정부과천청사역_인근에_마련된_헌혈_버스에서_헌혈을_하고_있다.

위아원은 국가적 혈액 수급난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생명을 살리고 지키는 헌혈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더 미라클 모먼트(The Miracle Moment) Part.1’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위아원의 헌혈 캠페인은 지난 2022년을 생명ON YOUTH ON 생명나눔을 시작으로 이번이 3주년째다.

 7ccf664193db2bf321bcf9fbac2a0bfa_1707195631_5341.jpg

2. 헌혈을_마친_위아원_청년자원봉사단_회원들이_헌혈증을_들고_있다.

위아원은 헌혈 캠페인 3주년을 맞아 헌혈을 통해 한 사람이 생명을 얻게 되는 순간, 혈액 수급 위기가 극복되는 순간, 생명을 살리는 헌혈 문화가 정착되는 순간 등 헌혈을 통한 모든 순간이 모여 더 큰 기적을 만들고자 더 미라클 모먼트라는 새로운 캠페인 명을 정했다고 소개했다.

 

특히 이번 캠페인 기간 중 헌혈자가 감소하는 겨울철 및 명절 연휴 동안 혈액 수급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해피 뉴 헌혈이라는 주제로 헌혈 버스를 운영했다.

 7ccf664193db2bf321bcf9fbac2a0bfa_1707195675_5473.jpg

3. '해피_뉴_헌혈'_헌혈_버스_행사에_참여한_위아원_회원들이_헌혈을_하고_기념촬영을_했다

설 연휴를 앞두고 진행된 헌혈 버스 현장에서는 헌혈에 참여한 회원들과 시민들에게 룰렛 이벤트를 통한 선물 키트와 떡 등을 제공해 풍성한 명절 분위기까지 더했다.

 

이날 정부과천청사역 인근에 마련된 헌혈 버스에서 105명의 헌혈 참여자가 생명을 살리는 순간에 함께했다.

 

이번 헌혈 버스 행사에 참여한 20대 회원은 명절에 가족들을 만날 생각에 설레는 한편 명절 기간에는 헌혈 참여자가 적어 혈액 수급이 어렵다는 것이 마음에 쓰였다나의 헌혈로 인해 누군가도 이번 명절에 가족들과 함께 보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헌혈 봉사에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7ccf664193db2bf321bcf9fbac2a0bfa_1707195707_2666.jpg

4. 위아원_청년자원봉사단_이현승_대표가_헌혈을_마친_후_헌혈증을_기부하고_있다

위아원 관계자는 혈액 수급 위기가 예상되는 명절 기간을 대비해 해피 뉴 헌혈‘ 헌혈 버.스 행사를 기획하게 됐다이번 헌혈 버스 행사와 더불어 현재 진행 중인 더 미라클 모먼트 Part.1’ 캠페인을 통해 혈액 수급 위기가 극복되는 기적의 순간을 만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위아원은 혈액 수급 안정화와 무상 헌혈문화 확산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달 22일 대한적십자가 혈액관리본부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

 

위아원은 올해도 명절 연휴 등 헌혈 감소가 예상되는 시기를 포함한 상반기 동안 혈액 수급 안정화를 위해 25000명 헌혈을 목표로 더 미라클 모먼트 Part.1’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어 하반기에는 더 미라클 모먼트 Part.2’ 캠페인을 통해 헌혈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더 큰 기적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사진 캡션]

1. 위아원 청년자원봉사단 회원이 정부과천청사역 인근에 마련된 헌혈 버스에서 헌혈을 하고 있다.

2. 헌혈을 마친 위아원 청년자원봉사단 회원들이 헌혈증을 들고 있다.

3. '해피 뉴 헌혈' 헌혈 버스 행사에 참여한 위아원 회원들이 헌혈을 하고 기념촬영을 했다.

4. 위아원 청년자원봉사단 이현승 대표가 헌혈을 마친 후 헌혈증을 기부하고 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