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연구팀, 출혈 고위험군의 최소 절개 심장혈관 시술 안정성 입증
- 출혈 위험 큰 환자의 스너프박스 접근법 시술 후 경과 분석
- 대조군과 합병증 발생률은 비슷, 심각한 출혈 사례는 ‘0건’
오예자 2024-12-05 10:3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김용철·노지웅·이오현 교수,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진인태 임상강사 연구팀은 최근 연구를 통해 출혈 위험이 큰 환자에서 최소 절개 접근법을 활용한 심장혈관 시술의 안정성을 입증했다.

853c063c3b2587bcbb03b58e2bb9aa3d_1733362283_833.jpg
(왼쪽부터)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용철·노지웅·이오현 교수,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진인태 임상강사 

 

심장혈관 시술은 전통적으로 대퇴동맥을 통해 이뤄졌으나, 최근에는 출혈과 심혈관 사고 위험을 낮추기 위해 주로 요골동맥(손목동맥)을 이용한다.

 

최소 절개 접근법인 ‘스너프박스 접근법’은 요골동맥 중에서도 직경이 더 작은 손등 부위의 혈관을 이용하는 시술 방법이다. 기존 요골동맥 접근법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이 접근법은 시술 후 요골동맥 폐쇄 가능성을 낮추고 지혈이 쉬워 시술 부위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853c063c3b2587bcbb03b58e2bb9aa3d_1733362330_7409.jpg
손목동맥을 통한 최소 절개 접근법(스너프박스 접근법)의 모식도 

 

연구팀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14개 의료기관에서 스너프박스 접근법으로 심장혈관 시술을 받은 환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에서는 나이, 콩팥 기능, 빈혈 수치, 항응고제 사용 여부에 따른 출혈 고위험군을 확인해 최소 절개 접근법이 환자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출혈 고위험군과 비고위험군의 시술 부위 합병증 발생률은 유사했으며, 심각한 출혈 사례는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오현 교수는 “최소 절개 접근법은 시술 후 환자의 안전을 더욱 강화하는 방법”이라며 “이번 연구는 특히 출혈 위험이 큰 환자에서도 시술의 안정성을 확인한 데 큰 의의가 있다”라고 말했다.

853c063c3b2587bcbb03b58e2bb9aa3d_1733362355_7874.jpg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전경 

 

노지웅 교수는 “빠르게 고령화되어가는 한국 사회에서 출혈에 취약한 환자군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며 “최소 절개 접근법으로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심장혈관 시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심장학회지 ‘Korean Circulation Journal(IF 3.0)’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