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환의 시대 독일의 제도와 정책‘2024 ’ 년 세종도서 로 선정되어 우수도서로 인정받아 김완규 2025-01-14 07:22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한독사회과학회 회장 김주희 회원들이 출간한 대전환의 시대 독일의 제도와 ( : ) [ , 정책 이 년 세종도서 로 선정되어 우수도서로 인정되었다 제 대 한독 ] ‘2024 ’ . 16 사회과학회 이종희 회장을 주축으로 독일에서 학문을 닦은 명의 독일 전문가 9 가 정치 사회 환경 통일 등 독일 사회의 면면을 분석적으로 들여다본 후 대전환 · · · 에 대응하는 한국 사회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 [첨부파일 2] 대전환의 시대, 독일의 제도와 정책 표지 사진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또 그것을 위해 정치가 제 역할을 하 게 하려면 무엇보다도 기존의 정치제도와 선거제도를 개혁하는 것이 최우선 , 과제이다 조성복 독일정치연구소장 .” ( , ), “지방 소멸 위기는 지역의 협력을 통해 해법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독일 메트로폴 루르 사례는 우리가 지방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김주희 국립부경대학교 교수 .”( , ), “ ! 독일의 민주주의 발전과 통일 후 사회통합에 크게 기여한 시민교육 이제 독 일보다 더 나은 한국형 시민교육 모델이 정착되어야 한다 이종희 한국독일네 .”( , 트워크 부이사장 (ADeKo) ), “볼로냐 협약이라는 유럽 통합주의 흐름에서 독일은 전통적인 교사양성제도를 순탄하게 조응시키기 위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 고 있다 조상식 동국대학교 교수 .”( , ), “ , 독일의 환경정책은 지금까지 전 세계의 모범이 되곤 했으며 때로는 다른 나라가 부담스러울 정도로 획기적이기도 했다 차명제 경기민주시민교육협의회 공동대표 .”( , ), “ .”( , ), 독일의 성평등 진전은 무엇보다 통일의 효과이다 전태국 강원대학교 명예교수 “독일은 이민자 지원과 함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상호 협력적 제도화를 통해 사회통합을 일궈 나가고 있다 허준영 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 ), “ ‘ ’ ‘ ’ 한국에서 너무 많이 다루어진 독일 통일 주제가 아닌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독일 통일에 관한 이야기이다 베른하르트 젤리거 한스 자이델 재단 한국사무소 대표 .”( , ), “1910 , .”( - 년 독일은 일본의 조선 합병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도 않았다 한스 알렉산더 크나이더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 , ). 이 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 선거제도와 정치제도 개혁 2 : 장 새로운 베를린을 꿈꾸는 메트로폴 루르 지역 연합 형성을 통한 지역발전 3장 독일의 시민교육 4 · : 장 독일 초 중등교원 양성 제도의 현황과 개혁 동향 쟁점과 시사점 5 : 장 독일의 환경정책 환경규제와 경제정책의 공존 6장 독일 통일과 성평등의 전진 7장 독일의 이민정책 8 Deutsche Wiedervereinigungspolitik und deutsche Wiedervereinigung 장 – gibt es noch Lehren für Korea? ( : 독일의 통일 정책과 독일 통일 한국을 위한 교훈은 여전히 존재하는가?) 9 140 Jahre deutsch-koreanischer Beziehungen: Ein Rückblick auf 장 ihre Entstehungsgeschichte ( 140 : ) 한독 수교 년 그 기원에 대한 회고 저자들은 이번 세종도서 선정으로 들어온 인세 전액을 한독사회과학회에 기부 하겠다고 밝혔다. [ ] : 1 붙임 책 표지 사진 부 김완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연구원, “기부 활성화 위해 기부 인센티브 도입해야” 25.01.14 다음글 제2의 친위쿠데타와 내란 방지를 위한 정책 국회토론회 개최 25.01.14